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한중일 외교장관 '3국 협력'에 뜻모아..韓中 “역사직시해야” 일침(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일 갈등 속 中왕이, 건설적인 태도·대화 협력 강조

韓강경화 "3국 협력 통한 양자관계 증진 기대"

日고노 "양자 여러움 속 3국 협력 멈추지 말아야"

일본, 한·중과 역사인식 차이 보여

이데일리

21일 베이징에서 열린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가 끝난 후 (왼쪽부터) 강경화 외교장관,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이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사진=베이징 특파원 공동취재단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베이징=이데일리 신정은 특파원] 21일 한·중·일 외교장관 회담이 열린 가운데 한국과 중국 외교수장이 “역사를 직시하고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고 발언해 주목받고 있다.

강경화 외교장관과 왕이(王毅)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 고노 다로(河野太郞) 일본 외무상은 중국 베이징 외곽 구베이수전에서 열린 제 9차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에 참석했다. 이들은 최근 한일 무역 갈등을 의식한 듯 3국 협력이 양자 관계에 영향을 받아서는 안 된다는데 한목소리를 냈다.

왕 국무위원은 이날 회담에 앞선 기념 촬영에서 한일 장관의 손을 잡아 끄는 모습을 보이며 서로 가깝게 해주려는 제스처를 취하기도 했다.

왕 국무위원은 모두 발언에서 “한중일 3국 협력이 지난 20년동안 원만하고 조화롭게 발전해왔고, 세계의 발전에도 기여했다”며 “3국 협력은 신뢰와 협력에 기초해야 하며 허심탄회한 대화로 신뢰를 진전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3국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라면서 “3국 간 갈등은 건설적인 태도로 풀고 대화와 협력으로 나가야 하며 양자 간 갈등이 3국 협력에 영향을 끼쳐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중국은 한국, 일본과 협력을 넓혀가고 다자주의와 자유무역의 원칙을 수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왕 국무위원에 이어 강 장관은 “양자 관계에 영향받지 않고 흔들림 없이 3국 협력이 이뤄져야 한다”면서 “한반도 평화와 자유 무역 공고화에 기여해야 하며 3국 협력을 통한 양자 관계 증진도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고노 외무상은 “3국의 각 양자 관계가 3국 협력의 발판”이라면서 “양자 관계의 어려움 속에서도 3국 협력을 멈추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역사와 미래에 대한 언급에서 3국의 역사 인식 차이를 나타냈다.

회의가 끝난 후 가진 3국 외교장관 기자회견에서 왕 국무위원은 먼저 “지난 20년간 중한일 협력은 몇 번이나 파장을 겪기도 했다”며 “역사를 직시하고 미래 지향하는 것이 3국 협력의 정치적 기초”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이웃나라와 사이 좋게 지내는 것은 3국 협력 원동력이며 또한 허심탄회한 대화가 필요하다”며 “이 3가지가 중한일 협력의 올바른 방향”이라고 부연했다.

이어 강 장관은 “3국 협력이 올바른 방향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과거정상회의에서도 확인한 바 있는 역사를 직시하고 미래를 향해 나아간다는 정신을 잊지 않고 확고히 이어 나아가야 할 것”이라며 “3국 협력이 양자관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발전해 나아가기 위해서는 다양한 3국간 협의의 내실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반면 고노 외무상은 “우리 3국은 서로 이웃나라이기 때문에 양자간 관계가 어려움에 직면할 때도 있지만 3국의 협력은 확실하게 진전을 해야 할 것이라고 믿는다”면서도 “차세대 어린이 위해서도 미래지향적 실무 협력을 한걸음 한걸음 진전시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래지향’이란 점에서는 한중과 일관된 목소리를 냈지만 ‘역사’에 대해서는 언급을 하지 않은 것이다.

한편 한중일 외교장관은 올해 말로 예정된 정상회담을 차질없이 준비하기로 했고,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서는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3국이 노력하기로 했다.

중국은 2020년을 한·중·일 ‘협력 혁신의 해’로 하자는 제안을 했고, 양측의 지지를 얻었다고 전했다. 또한 지난해 5월 한·중일 정상회담에서 리커창 총리가 언급한 ‘한중일+X’(엑스는 3국 외 다른 나라를 의미)를 채택했으며 다른 나라와 공동발전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날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에 이어 오후 2시에는 한일 회동이 예정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강 장관은 이 자리에서 한일 간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의 필요성을 재차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한·일 외교장관의 만남은 지소미아 연장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시한(24일)과 일본의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 배제조치 시행일(28일)을 앞두고 이뤄지는 만큼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할지 관심이 집중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