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정부, 'D·N·A+빅3' 혁신성장 분야 4.7조 투자…AI인재 20만명 키운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혁신성장 확산·가속화 전략' 발표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 신산업 분야

시스템반도체 예산 올해의 3배로 확대

"예산은 마중물…기업투자 유도"

이데일리

방기선 기획재정부 차관보(왼쪽에서 세번째)가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혁신성장 확산·가속화 전략 합동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기재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조해영 기자] 정부가 5G와 인공지능(AI), 시스템반도체 등의 신산업 분야에 내년도 예산을 4조7000억원 투입한다. 오는 2023년까지 AI 분야 등에서 핵심인재 20만명을 양성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정부는 21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활력대책회의 겸 혁신성장전략회의를 열고 신산업 분야에 대한 정부 재정 투자와 관련 핵심인재 양성을 골자로 한 ‘혁신성장 확산·가속화 전략’을 확정·발표했다.

◇시스템반도체 예산 3배로…광주에 AI 융복합 단지

정부는 데이터·네트워크·AI(D·N·A)와 빅3(시스템반도체·바이오헬스·미래차 ) 분야에 내년 각각 1조7000억원과 3조원 등 총 4조7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홍 부총리는 “1단계로 D·N·A 핵심 인프라 투자를 늘리고 2단계로 빅3에 재정을 투자해 혁신을 확산하겠다”고 말했다.

예산 규모는 올해보다 45%(1조5000억원) 늘었다. DNA 분야 예산은 올해 1조1589억원에서 내년 1조7100억원으로 47% 늘었고, 빅3는 올해 2조956억원에서 내년 3조원으로 44% 늘었다. 특히 일본 수출규제 직격탄을 맞을 우려가 있는 시스템반도체 예산 규모를 올해 726억원에서 2300억원으로 3배 넘게 늘렸다.

세부적으로는 기업이 공정 등에 AI를 활용할 때 쓸 수 있는 ‘AI 바우처(비용 보조 이용권)’를 새롭게 도입한다. 데이터와 AI에 기반을 둔 제품이나 서비스 개발도 지원하고 AI 관련 연구개발(R&D)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광주지역에는 AI 중심 융복합 단지를 신규 조성할 예정이다.

시스템반도체 경쟁력 확보를 위해 올해의 3배가 넘는 2300억원의 재정을 투입한다. 시스템 반도체 원천기술 개발부터 생산과 제품화까지 전 범위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설계지원센터를 만들고 반도체 설계를 담당하는 팹리스(Fabless) 기업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의료 분야의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을 위해 의료데이터 중심병원을 지정하고 빅데이터 플랫폼 5곳을 구축하기로 했다. 친환경 미래차 산업을 위해 수소차용 연료전지시스템과 전기차 배터리·충전시스템 기술개발 등에 정부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AI 대학원 늘리고 4050에도 소프트웨어 재교육

정부는 신산업 분야의 인재 풀 확보를 위해 오는 2023년까지 AI 등에서 혁신인재 20만명을 키우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성일홍 기재부 혁신성장추진기획단장은 “AI 관련해서는 한국의 현재 역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며 “교육을 확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다음달 고려대·성균관대·카이스트 3곳에서 처음으로 문을 여는 AI 대학원을 총 8곳으로 확대한다. 대학 학부 수준에서의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하반기에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을 5개 추가 지정할 예정이다. 기업수요에 맞춘 인재 양성을 위해 내년부터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선도대학 추가 지정도 검토하기로 했다.

성 단장은 “AI 대학원은 올해 예산안에 3개, 추가경정예산안에 2개, 내년도 예산안에 3개가 계획돼 있다”며 “소관부처에서는 더 많이 요구했지만 교수를 구하는 문제를 감안해 적정수준으로 8개를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교육을 관련 업계에 종사하는 중·장년층까지 열어둔다는 방침이다. 방기선 기재부 차관보는 “젊은 세대를 키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현재 소프트웨어 업계에서 일하는 이들에게 AI 교육을 집중적으로 해야 한다는 논의가 있었다”며 “재교육이 필요한 40~50대에도 교육을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대책에서 언급된 투자를 위한 예산은 정부가 국회에 제출하는 내년도 예산안에 담길 전망이다. 기재부는 다음 달 3일까지 국회에 예산안을 제출해야 한다. 정부는 이번 대책이 단순히 정부 차원의 예산 투자에 그치지 않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 예산이 혁신성장의 마중물 역할을 해 기업 투자로 이어지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방 차관보는 “이번에 신설하는 AI 바우처 등은 기업에 필요한 자금과 기술을 지원해주는 것이기 때문에 기업 수요에 정부가 부응한 것”이라며 “정부 재정을 마중물로 기업의 투자와 연계가 이뤄져 발전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