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대신지배硏 "상장사, 중장기 배당정책 구체적으로 공시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시총 상위 10개社중 현대모비스만 배당목표 제시

"배당정책 공시제도 도입해 구체적 정보 제시해야"

이데일리

지난 5일 서울 명동 KEB하나은행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김성훈 기자] 국내 시가총액(시총) 상위 10대 기업 기운데 지난해 사업보고서에서 구체적인 배당정책 목표를 제시한 기업이 1곳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상장사들에 대한 배당정책 공시제도 도입을 통해 기업 배당 정보와 중장기 배당 정책을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송민지 대신지배구조연구소 선임연구원은 21일 “국내 기업의 배당 관련 공시를 살펴보면 양과 질이 모두 부실하며 정책 측면에서도 단기적 배당정책만을 발표하는 경향이 강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송 연구원은 “현재 국내 상장 기업의 결산배당 기준일은 12월 31일로 정해져 있지만 배당 결정 공시는 매해 12월부터 이듬해 3월에 걸쳐 이뤄지면서 주주가 배당 권리를 확정하는 시점에서 관련 정보를 얻기 어렵다”며 “배당 결정 공시에도 해당 사업연도의 결산배당 결정 사항만이 담겨 있어 기업의 장기 배당 정책을 판단하기 역부족”이라고 평가했다.

송 연구원에 따르면 실제로 국내 시가총액 상위 10대 기업 가운데 2018년도 사업보고서에서 배당정책에 대한 구체적 목표를 제시한 기업은 현대모비스(012330) 1곳뿐이었으며 나머지 기업은 배당 지급 내용만을 설명하는 데 그쳤다. 아울러 삼성전자(005930)와 LG화학(051910), 포스코(005490) 등 3곳은 홈페이지에 배당정책 관련 페이지가 있지만 구체적 배당 목표를 명시한 기업은 삼성전자(005930)뿐이었다.

이웃 나라 일본의 경우 시총 상위 10개 기업 가운데 도요타와 KDDI·미쓰비시 UFJ 파이낸셜·일본전신전화 등 4곳이 2018년 사업보고서에 배당 목표를 기재했고 잉여 현금흐름이나 조정 주당 순이익 등 배당 목표 결정의 기준이 되는 지표도 함께 제시했다. 이밖에 9곳이 홈페이지에 별도 안내 페이지를 마련하고 8곳은 향후 배당 목표를 구체적으로 밝혔다.

송 연구원은 “최근 국내 상장사들의 현금배당 확대 추세는 긍정적이지만 주주환원 확대를 위해 배당 및 주주 환원 정책에 적극적으로 공시할 필요가 있다”며 “금융당국은 기업의 배당 목표와 정보 등을 기재하는 ‘표준 공시 양식’을 도입하는 한편 주주들도 주주제안 등의 방법을 통해 적극적으로 배당 관련 정보를 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