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배터리 원료 '수산화리튬' 확보전 가열…LG화학도 中업체와 계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K이노베이션 이어 중국 톈치리튬 자회사와 장기공급 계약

전기차 배터리 급성장에 원료 공급부족…공급망 확대 사활

연합뉴스

LG화학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김영신 기자 = SK이노베이션[096770]에 이어 LG화학[051910]이 중국 최대 리튬 생산업체인 톈치리튬의 자회사와 수산화리튬 공급 계약을 맺었다.

수산화리튬은 '미래 먹거리'인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원재료로, 수요가 급증하는 반면 공급이 따라오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배터리 업체들의 수산화리튬 공급선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이 본격화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LG화학은 중국 톈치(天齊)리튬의 자회사인 호주 톈치리튬퀴나나(TLK)와 수산화리튬 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유효기간은 2020∼2022년이고, 양사 합의에 따라 이후 3년 연장이 가능하다.

양측은 구체적인 계약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으나, 기초 판매 수량은 TLK의 호주 서부 퀴나나 지역 수산화리튬 공장에서 연간 생산하는 능력의 15% 이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LG화학 관계자는 "배터리 산업이 급성장 하고 있어 배터리 원재료 공급 계약을 계속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전기차 배터리
[연합뉴스TV 제공]



톈치리튬은 세계 3위·중국 1위 리튬 생산업체로 앞서 SK이노베이션이 먼저 TLK와 수산화리튬 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했었다.

SK이노베이션은 호주 퀴나나 지역에서 생산하는 수산화리튬 중 20∼25%를 지난달 1일부터 2024년까지 공급받고 있다. 최대 5만t을 5년6개월 간 확보한 것이다.

LG화학은 지난해 말에는 중국 간펑리튬 지분을 1.2%, 지난해 5월에는 미국 배터리 개발업체인 에너베이트(Enevate) 지분 5% 가량을 매입하는 등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공급이 부족한 수산화리튬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국내 배터리 업체들의 경쟁이 더욱 치열하고 있는 형국이다.

업계 관계자는 "수산화리튬은 고용량 전기차 배터리에 최적화한 원재료로, 안정적인 수급을 위해서는 다양한 공급선 확보가 필수"라고 말했다.

포스코경영연구원(POSRI)은 최근 '글로벌 리튬 산업 7대 이슈' 보고서에서 2025년 수산화리튬 수요는 405만t, 공급은 202만t으로 전망했다. 포스코경영연구원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생산 증가로 수산화리튬 수요가 크게 늘며 공급 부족 상황이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shiny@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