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9 (일)

홍콩시위 장기화, 韓경제 영향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무력진압 가능성 낮지만, 실행되면 韓 수출 타격"
10월 1일 건국 70주년 행사 전후로 中 대응 구체화될 전망


홍콩에서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반대 시위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증권업계는 시위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우려스러운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현재로선 중국의 무력개입 가능성이 낮지만 실행되면 서방 국가들의 경제제재가 뒤따라 우리 기업의 중국 수출이 위축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24일 신한금융투자에 따르면 한국의 홍콩 투자는 244억달러이며 국내에 유입된 홍콩계 자금은 245억달러로 전체 외국인 자금의 3% 수준이다.

윤창용 연구원은 "홍콩 사태가 국지적 현상으로 그치면 영향이 미미하겠지만, 중국 제재 등으로 확산되면 실물 중심으로 타격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한국의 대(對) 홍콩 수출 중 재수출은 94%이며 이 가운데 중국향은 90%에 이른다. 우회 수출이 차단될 경우 단기적으로 우리 기업의 수출 차질이 불가피하다. 하지만 중국으로 향하는 수출은 시차를 두고 회복될 가능성이 높다. 세제 혜택을 포기하고, 중국과 직접거래에 따른 법적·제도적 위험 등을 일부 감수하면 직접 수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런 시나리오에도 위험은 따른다.

윤 연구원은 "중국 직접 수출을 통해 피해를 일부 상쇄할 수 있으나 문제는 중국의 무력진압 등을 이유로 서방 국가가 중국에 경제 제재를 가할 경우"라며 "미·중 무역분쟁으로 악화된 중국 경기가 추가로 위축되면 대 중국 수출(홍콩 포함) 의존도가 35%에 달하는 한국 수출은 부진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지난 1989년 천안문 사태 당시 미국 중심의 서방 국가들은 중국에 외교 제재를 가한 바 있다. 앞으로 미·중 무역분쟁이 심화하는 과정에서 중국 경기의 하강 압력은 커질 수밖에 없으며, 이는 대 중국 수출(홍콩 우회 포함) 의존도가 35%에 달하는 우리 경제에 치명적이다. 지난해 4·4분기부터 중국 수요가 본격적으로 위축되면서 우리나라의 대 중국 수출은 전년대비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다만 무역협상과 연계한 미국의 압박과 홍콩시민들의 평화시위 기조 등은 중국 정부의 무력 개입을 망설이게 만드는 요인이다.

윤 연구원은 "시위대의 요구대로 송환법을 완전히 백지화하는 등 양측이 한 걸음씩 물러나며 타협점을 찾으면 다행이겠으나 섣불리 예단하기는 어렵다"며 "예측에 기반한 선제적 대응보다는 변동성 확대를 염두에 두고 진행 상황에 따라 사후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10월 초 중국 건국 70주년 행사를 앞두고 9월 중 중국 정부의 대응이 구체화될 전망"이라며 "사태 확산 가능성이 상존한 만큼 변동성 확대를 염두에 둔 관망적 자세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map@fnnews.com 김정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