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1 (토)

일, '백색국가 제외' 시행…기업 우려 1순위는 '불확실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낙연/국무총리 (어제) : 일본 정부가 사태를 더 이상 악화시키지 않으리라고 믿습니다. 한국에 대해 취한 부당 조치를 원상 회복하고 우리는 지소미아 종료를 재검토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앵커]

JTBC 기자들이 직접 취재한 뉴스와 그 뒷이야기를 들어보는 시간입니다. 뉴스 보여주는 기자, 뉴스 보기입니다. 경제산업부 정재우 기자와 함께하겠습니다.

정 기자, '사태 악화'를 막아보자는 이낙연 총리의 발언에도 일본이 우리나라를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하는 관리령을 공식 시행했군요?

[기자]

이 총리의 발언은 일본이 '화이트리스트' 문제에서 입장을 바꾼다면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지소미아 종료도 재검토할 수 있다는 의미였습니다.

하지만, 아베 정부는 '역사를 바꿔쓸 수는 없다' 며 입장을 바꾸지 않았습니다.

[앵커]

일본이 한국을 배제하겠다고 정한 것은 이달 2일이죠. 지금까지와 무엇이 다른 것인가요?

[기자]

처음 문제가 불거진 것은 일본이 불화수소를 포함한 반도체 소재 3개를 개별 허가로 돌린 7월 4일부터입니다.

이 때까지만 해도 우리나라는 화이트 리스트에 포함된 상태였습니다.

그 뒤로 이달 2일 '수출무역관리령'을 바꿔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제외시켰고, 7일 일왕이 공포한 뒤 21일 후인 오늘 시행된 것입니다.

정부는 화이트리스트에서 배제되면 전략물자뿐 아니라 목재와 식품을 제외한 4800여 개 품목이 규제 대상이 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전부는 아니지만 일본이 자의적으로 품목을 골라 수출 허가를 복잡하게 만드는 개별 허가로 바꿀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앵커]

부품소재 3개 품목에 대한 규제가 1차 보복이라면, 화이트리스트 배제는 2차 보복이 되는 것이군요. 일본이 자의적으로 품목을 골라 규제할 수 있다는 것은 기업들로서는 언제 우리가 대상이 될지 모르니 불확실성이 커질 수밖에 없겠군요.

[기자]

예, 그렇습니다. 당장 추가 규제를 하지는 않을 거라는 분위기가 있지만, 우리 기업들이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불확실성입니다.

일본은 지금까지 삼성전자에만 두 차례 포토레지스트의 수출 허가를 내줬습니다.

하지만 삼성 같은 대기업이 아닌 중소기업들은 불안감이 더 큽니다.

정부는 민·관합동으로 소재부품 수급대응 지원센터를 운영하면서 기업의 애로사항을 듣고, 일본을 대체할 수입처를 찾는 데 노력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소재를 일본으로부터 수입하는 한 회사를 예로 들면요. 코트라를 통해 20개국을 사전 조사하고 5곳의 대체처를 발굴해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수출 규제뿐 아니라 금융 분야 등에서 추가 보복 가능성은 어느 정도인가요?

[기자]

금융위원회는 우리 금융 분야에서 일본에 대한 의존도가 높지 않다며 우려를 일축했습니다.

주식과 채권 시장에서 일본의 비중이 각각 2.3%, 1.3%에 불과한데다 일본에서 진 빚도 전체 외화의 6.6% 뿐이라는 것입니다.

일본도 '엔화의 국제화'를 추구하는데, 그러려면 우리와 금융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앵커]

지소미아가 공식 폐기되는 11월 23일까지 수출 규제나 백색국가 제외 문제가 해결될 가능성은 어느 정도인가요?

[기자]

일본의 결정에 달려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특히 반도체 소재 3개 품목을 수출 규제한 것은 고시만 바꾸면 원상 복귀가 가능합니다. 어렵지는 않다는 얘기입니다.

우리 정부도 11월에 지소미아가 종료될 때까지는 상황이 바뀔 수 있다는 판단 아래, 협상의 여지를 남겨뒀습니다.

다만 일본은 이번 수출 규제를 수출 관리라고 부르면서, 지소미아와는 다른 차원의 문제라고 주장해 왔기 때문에 상황은 지켜봐야 합니다.

[앵커]

네 지금까지 뉴스보기, 경제산업부 정재우 기자였습니다.

정재우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