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자율형 사립고와 교육계

서울 자사고 8곳 '일단 유지'···내달 입시전형 정상 진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해운대고·안산동산고 이어 서울도 모두 법원서 신청 인용

재판부, 자사고 측 “회복 못할 손해” 주장 받아들인 듯

서울경제


자율형사립고(자사고) 지정 취소에 대해 소송을 낸 서울지역 8개 고교 모두가 일단 자사고 지위를 유지하게 됐다. 지난 28일 부산지법과 수원지법이 해운대고와 안산 동산고의 신청을 각각 받아들인 데 이어 서울 지역 자사고에 대해서도 같은 결정이 나온 것이다.

서울행정법원 행정1부(안종화 부장판사)는 30일 경희고와 한대부고가 “자사고 지정 취소 처분의 효력을 정지해달라”고 낸 집행정지 신청을 받아들였다. 같은 법원 행정6부(이성용 부장판사)도 중앙고·이대부고가 낸 집행정지 신청을 인용했다. 행정2부(이정민 부장판사)는 숭문고·신일고가 낸 집행정지 신청을 잇따라 인용했으며, 행정14부(김정중 부장판사)도 배재고·세화고의 신청을 받아들였다. 이에 따라 8개 학교 전부 본안 소송의 결론이 나올 때까지 자사고 지위를 유지한다. 9월 초 시작되는 내년 입시 전형도 예전과 동일하게 진행될 전망이다.

앞서 지난달 서울시교육청은 9개 자사고에 지정취소 처분을 내렸다. 이에 불복한 8개 학교가 2곳씩 나눠 처분을 취소해달라며 행정소송을 제기하고 집행정지를 신청했다. 재판부는 당장 일반고로 전환될 경우 ‘회복하지 못할 손해’가 발생한다는 자사고들의 주장을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자사고들은 “나중에 본안에서 승소하더라도 학생 수가 감소하고 재정이 악화하는 것은 물론, 자사고의 정체성을 회복할 수 없게 된다”며 취소 처분의 효력을 정지해달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서울시교육청의 지정 취소 처분도 재량권을 남용한 만큼 본안 소송에서도 승소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정민수 인턴기자 minsoojeong@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