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은행권 DLS·DLF 사태

한 상품만 담은 DLF…금융당국, 상품설계 과정 집중 검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은행이 증권·운용사에 상품 만들어달라 요청했는지도 점검

원금 전액 손실 위기에 놓인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에 대한 현장 검사를 진행 중인 금융당국이 해당 펀드의 기초자산 편입 문제를 집중적으로 점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반적인 펀드 상품은 여러 기초자산을 담아 분산 투자를 하는데, 독일국채 DLF는 독일국채 10년물 파생결합증권(DLS)만 편입돼 있다.

금융당국은 상품 설계 과정에서 DLF에 단일 기초자산만 편입한 경위에 대해 집중적으로 들여다볼 계획이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선진국 국채 금리 DLF를 설계한 자산운용사들과 증권사에 대한 일제 검사에 들어갔다. 이번에 문제가 된 DLF는 운용사들이 만들고 은행들이 팔았다. 금감원은 DLF 설계 과정부터 이 상품을 은행들이 판매하게 된 경위까지 집중적으로 점검하기로 했다.

금감원은 독일국채 DLF 상품 구조에 주목하고 있다. 이 상품은 독일국채 10년물 금리연계 DLS만 기초자산으로 한다. DLS는 금리나 환율, 원자재, 신용 등 다양한 기초자산의 가격변동에 따라 원금과 수익률이 결정되는 상품이다. DLF는 DLS를 기초자산으로 편입한 펀드다.

조선비즈

조선일보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펀드의 경우 여러 기초자산을 담아 리스크를 분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비슷한 구조의 주가연계증권(ELS)과 주가연계펀드(ELF)도 마찬가지다. ELS는 정해진 시점에 특정 주가지수나 주식 가격이 일정 범위 내에서 움직이면 사전에 약정한 이자를 지급하는 상품이고, ELF는 ELS를 담은 펀드다. 보통 ELF에는 여러 개 ELS를 편입·운용해 투자 위험을 분산시킨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은행들이 단일 DLS를 편입한 DLF를 판매한 것이 일반적인 경우인지 검토하고 있다"며 "일반적인 구조가 아니라면 왜 이런 상품을 은행이 팔게 됐는지 점검할 것"이라고 했다.

상품 설계에 문제가 있었다는 결론이 나오면 책임 소재가 따라온다. 금감원은 DLF를 판매한 은행들이 증권사나 운용사에 이런 상품 개발을 요구했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운용사와 증권사들이 은행 요구대로 상품을 설계했다면 자본시장법 위반 가능성도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운용사나 증권사들이 은행에서 이런 상품을 만들어달라고 하니 리스크 검사 없이 상품설계를 하는 경우도 있다"고 했다.

금융사들이 DLF를 개인투자자에게 판매했던 시점은 올해 3월이다.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는 지난 3월 처음 마이너스에 진입한 뒤 4월 들어 소폭 올랐지만, 이후 기약없이 떨어지고 있다. 은행들이 손실 가능성을 알고도 DLF 설계를 운용사와 증권사에 요구한 뒤 팔았다면, DLS 사태 문제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증권사들과 운용사들은 DLF의 특성상 단일 기초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리스크 분산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DLF는 주가지수나 주식 외에 금리, 환율, 원유, 원자재, 귀금속, 곡물, 기업 신용도 등 보다 다양한 기초 자산을 구조화해 만들어진다. 기초자산 가격의 방향성을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한가지 지수를 추종하는 DLF가 리스크 관리에 더 유리하다는 것이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DLF는 하나의 기초자산만 편입해도 전혀 문제가 없고 추종 지수에 따라 단일 기초자산만 편입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송기영 기자(rckye@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