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은행권 DLS·DLF 사태

"'안정형' 고객에 100% 원금 손실 위험 DLS 판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박철응 기자] 우리은행이 해외금리 파생결합상품(DLS)을 판매하기 이전에 원금 손실 위험성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안정형' 투자성향 고객들에게도 판매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금융정의연대와 약탈경제반대행동, 키코공동대책위원회는 지난달 23일 우리은행을 DLS 사기 판매 혐의로 검찰에 고발한데 이어 2일 '고발인 의견서'를 증거 자료와 함께 검찰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지난 3월29일 작성된 우리금융경영연구소의 ‘미국 통화정책 기조 변화의 의미와 영향’ 보고서를 근거로 들었다. 이 보고서를 보면 '미국 금리 하락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글로벌 금리도 동반 하락할 전망'이라며 '3월 FOMC 이후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2.53%에서 2.39%로 하락했으며, 독일과 영국 등 주요국의 금리도 동반 하락(독일 0.084% → -0.069%, 영국 1.16% →1.0%, 3월 28일 기준)'이라고 돼 있다.


금융정의연대 등은 "우리은행이 이번 사건의 금융상품을 판매하기 시작한 3월22일에는 원금 손실의 위험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면서 "당시 이미 독일국채 10년물 금리가 마이너스 구간에 진입하고 있었고, 우리금융연구소 자료는 은행 내부 자료로서 유력한 사기의 증거로 볼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또 원금 100% 손실 위험이 있는 상품으로 ‘공격투자형(1등급)’ 고객들에 판매돼야 하는데, 대부분 피해자들이 ‘위험중립형(3등급)’ ‘안정추구형(4등급)’ ‘안정형(5등급)’으로 분류돼 있었다고 했다.


금융정의연대 등은 "검찰은 상품 판매를 위해 우리은행이 투자성향을 조작했는지에 대해서도 사실관계를 밝혀내 엄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리은행이 고객들에게 보낸 가입 권유 문자메세지에는 ‘수익률 4.2%, 6개월 짧은 만기’ 등으로만 돼 있을 뿐 원금 손실률에 대한 정보는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고 했다.



박철응 기자 her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