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5세대 이동통신

통신3사 5G 기지국 8만국 육박, 올해 목표 78% 넘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통신3사가 구축한 5G 기지국이 8만국에 육박했다. 기지국 송수신 장비는 18만대에 이른다. 이는 정부와 통신3사가 연말까지 목표한 23만대의 78%를 넘는 수치다.

5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노웅래 위원장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앙전파관리소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일까지 구축된 기지국은 LG유플러스 3만282국, KT 2만7537국, SK텔레콤 2만1666국 등 모두 7만9485국이다

LG유플러스가 가장 먼저 3만국 선을 처음으로 넘었다. 최근 장비사 수급 문제가 상당부분 해소됐다는 설명이다.

다만, 수도권 5G 기지국 편중 현상은 여전하다. 통신3사 5G 기지국 중 수도권은 4만4325국으로 전체의 55.8%를 차지했다. 전국적으로 보면 대부분 지역에서 LG유플러스 기지국이 가장 많았다. KT는 서울과 충북‧전남에서, SK텔레콤은 대구와 세종에서 우위를 점했다.

기지국 송수신 장비 수에서는 KT가 지난달 29일 기준 6만대를 돌파해 가장 많았고,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6만대에 약간 못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지국에는 안테나처럼 보이는 송수신 장비가 보통 2~3대 설치된다.

이와 함께 노웅래 위원장은 KT가 기지국 송수신 장비 6만개 개통을 기지국 6만개 개통으로 과장 홍보해 이용자 혼선을 초래했다고 비판했다. 전파관리소는 KT가 밝힌 5G 기지국 장비 개통 수에 대해 별도로 관리하지 않고 있다.

노 위원장은 'KT는 지난달 29일 하루 7739대 기지국 장비를 일제히 개통해 지연 개통 논란이 제기됐다. 지난달 5일 고양시에 40여대 기지국 장비를 구축하고도 점검 등을 이유로 24일 후 개통하면서 해당 지역에 5G가 늦게 제공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KT가 5G 기지국 수를 과장해서 홍보하는 것은 명백한 이용자 기만행위'라며 '통신사의 기만적인 마케팅에 따른 이용자 혼란을 근절하기 위해 통신 당국이 5G 기지국 수와 품질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