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0 (월)

軍위안부 연구 선구자 요시미 “동원방식은 부차적 문제···핵심은 성노예와 같은 상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위안부 다수, 인신매매·유괴 형태로 동원

일본軍, 1940년대부터 중앙 승인 없이 위안소 설치

“군이 제도 만들고 직접 관리···업자 아닌 국가 책임”

서울경제


일본군 위안부 문제 연구의 선구자인 요시미 요시아키 일본 주오대 명예교수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본질을 덮으려는 시도와 관련해 “핵심은 여성이 ‘성적 노예’라고 밖에 부를 수 없는 상황에 놓여 있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13일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요시미 명예교수는 인터뷰를 통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동원하는 방식을 둘러싼 논쟁을 두고 “강제 연행의 여부 등 여성이 어떻게 왔는지는 부차적인 문제”라며 이같이 밝혔다.

요시미 명예교수는 위안부를 동원하는 과정을 △군이 선정한 업자가 여성의 친족에게 돈을 빌려주는 대신 여성을 위안소에서 사역하는 ‘인신매매’ △업자가 술자리에서의 시중 담당이나 간호부와 같은 일 등이라고 속여서 데려가는 ‘유괴’ △관헌이나 업자가 협박이나 폭력으로 강제연행하는 ‘약취’ 등 크게 3가지로 분류했다. 이 가운데 일제강점기 당시 한반도에서는 인신매매와 유괴의 형태가 많았으며 중국이나 동남아시아 등 점령지에선 관헌에 의해 강제연행이 이뤄졌음을 보여주는 재판 자료나 증언이 있다고 설명했다.

요시미 명예교수에 따르면 위안소는 1932년 상하이 사변 이후 설치되기 시작했다. 육군의 경우 최초에는 현지 군이 중앙의 승인을 받아 설치했으나 1942년부터는 육군성이 스스로 설치에 나섰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군이 위안소의 설치·유지의 주체였다는 것이다. 요시미 명예교수는 ‘업자가 한 것이므로 위안부 문제는 군이나 국가의 책임이 아니다’는 견해에 대해 “군이 위안소 제도를 만들었다. 관리·통제도 군이 했다. 이용한 것도 군인·군속(군무원)뿐이다. 여성들도 군이 선정한 업자가 군의 요청을 받고 모집했다”고 반론했다.

요시미 명예교수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외출의 자유, 주거지 선택의 자유, 폐업의 자유, 병사의 성적 요구를 거부할 자유 등 4가지 자유가 없었다며 “노예 상태라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본인의 뜻에 따라 위안부가 된 이들이 있느냐는 물음에 대해선 당시 조선에서 소수이기는 하지만 신문에 일본어로 ‘위안부 모집’ 광고가 실린 사례가 있다고 소개하고 “당시 조선 여성의 문자해독률이 8%(1930년 조선국세조사)였고, 경제적으로 가난한 가정의 소녀들이 신문을 읽는 것이 가능했는지 의문이다. 광고는 업자를 향한 것이라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해석했다.

한편 요시미 명예교수는 1991∼1992년 방위청 방위연구소 도서관에서 위안부 동원이나 위안소 설치·관리 등에 일본군이 깊게 관여했음을 보여주는 자료를 찾아냈고 이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해 일본이 정부의 책임을 인정하는 계기를 제공했다.
/김기혁기자 coldmetal@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