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孫 퇴진론' 속내 복잡한 바른미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오신환 "약속 안지켜 무책임" 비판

反조국 기류 두고 내부 단합도 필요

내홍땐 여론 역풍 맞을수 있어 고민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가 ‘지지율 10%가 되지 않는다면 사퇴하겠다’고 밝힌 추석 연휴가 지나면서 당 속내가 한층 복잡해지고 있다. 손 대표가 약속을 이행하지 않더라도 당헌·당규상 사퇴를 강제할 조항은 없다. 게다가 이른바 ‘조국 사태’의 파장이 커지는 가운데 손 대표 사퇴를 두고 또다시 갈등을 빚을 경우 여론의 역풍을 맞을 수 있어 이래저래 고민만 깊어지는 모양새다.

오신환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15일 서울경제와의 통화에서 “(손 대표가 앞서 약속했으나) 이행하지 않는 상황”이라며 “본인이 한 약속을 지켜야 하는데 무책임하게 지키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반면 손 대표가 최근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의 ‘국민연대’ 제안을 사실상 거절한 데 대해서는 “통합으로 연결을 시키기는 무리가 있다”고 밝혔다. 대신 “사안에 따라 정책적 내용에 대해서는 (한국당과) 연대할 수 있다”며 손 대표와 비슷한 뜻을 내비쳤다. 야권통합에는 선을 그으면서도 반조국 기류에 대해서는 힘을 합치겠다는 것이다.

이는 손 대표 사퇴에 대한 당 내부 갈등을 자제하면서 요동치는 야권 내 ‘반(反)조국 연대’ 움직임에는 적극 동참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바른미래당 당헌·당규에는 당 대표의 불신임과 같은 강제력이 있는 장치가 없다. 대신 궐위(직위나 관직 따위가 빔) 조항만 있다. 손 대표가 약속을 이행하지 않더라도 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나지 않는 이상 사퇴를 강제할 방법은 없는 셈이다. 오히려 손 대표 사퇴나 한국당 공조 여부 등에 대해 내홍만 키울 경우 바른미래당은 야권연대만 흔들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다.

바른미래당 최고위원회의 한 퇴진파 위원은 이날 서울경제와의 통화에서 “손 대표 측근들도 내려오라고 하고 있어 (손 대표가) 16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무엇이라고 하는지 지켜봐야 한다”며 다소 유보적 입장을 밝힌 점도 이를 염두에 둔 발언으로 보인다. 손 대표 사퇴 등을 두고 당내 갈등만 커질 경우 득보다 실이 큰 만큼 우선 야권연대 동참에 집중함으로써 국회 내 당의 위치를 한층 공고히 하겠다는 것이다.
/안현덕기자 always@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