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국제유가 배럴당 70달러 돌파 가능성” -대신증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대신증권은 17일 국제유가가 단기간내 배럴당 70달러를 넘어설 수 있다고 진단했다.

김소현 대신증권 연구원은 “원유수요 둔화 우려로 하락한 국제유가의 방향성이 바뀌었다. WTI선물 가격이 전거래일 종가대비 10% 이상 올라 60달러를 돌파했다”며 “친이란 예맨반군의 드론 공격으로 사우디의 주요 석유시설이 타격받아 원유공급 차질 우려가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사우디에 따르면 이번 공격으로 570만배럴 분량의 원유공급이 중단됐다. 이는 사우디 원유생산량의 58%로 전세계 원유공급량의 5%에 해당한다.

김 연구원은 “국제유가는 단기간내 배럴당 70달러를 넘어설 수 있다. 사우디 석유시설 복구 이전까지의 원유생산 차질량은 원유생산국의 공급량 증대로 보완하기 어려워 보이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블룸버그에 따르면 석유수출기구(OPEC) 내 사우디와 미국의 제재를 받고 있는 이란을 제외하면 단기간내 원유증산 가능량은 130만배럴”이라며 “미국은 원유운송 파이프라인 부족으로 급작스런 증산을 하기 어려워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사건 이후 미국과 이란 관계 악화로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가 높아질 것”이라면서 “미국은 이번 사건의 배후로 이란을 지목해 기존 이란 제재를 심화시키는 등 원유공급 차질 이슈가 악화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향후 투기적 자금 유입도 국제유가 상한선을 높일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현재 미국의 전략비축유 방출만으로 사우디의 원유생산 차질량을 보완하는 데 한계가 있다. 다만 미국 외에도 국제에너지기구(IEA)의 비상대응 계획으로 회원국들의 전략비축유 공동 방출이 진행되면 사우디의 원유생산 차질량이 어느 정도 복구 가능하다”면서 “향후 사우디의 원유시설 복구 발표 시점이 단기 국제유가 상승폭을 결정하는 주요 이벤트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mjk@fnnews.com 김미정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