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SK-LG 대표 회동 하루만에… ‘배터리 분쟁’ 오히려 확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찰, SK이노 본사 압수수색에
SK이노 ‘대화’ 입장문 내놨지만
LG화학 주장에는 사안별로 반박
LG화학 "경찰, 충분한 증거 확보"
영업비밀 부정 취득한 정황 설명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K이노베이션과 LG화학의 전기 배터리 분쟁과 관련해 양사 대표들의 회동이 빈손으로 끝난 이후 양사의 배터리 분쟁이 확전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17일 배터리 소송과 관련해 불거진 다양한 쟁점과 여론전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을 담은 장문의 입장문을 발표했다. 반면 LG화학은 경찰의 SK이노베이션 압수수색과 관련한 SK이노베이션 형사고발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서울경찰청 국제범죄수사대 산업기술유출수사팀은 이날 SK이노베이션 본사가 위치한 서울 서린동 SK빌딩과 대전 대덕기술원에 수사관을 보내 사무실을 압수수색했다.

■ 경찰 SK이노베이션 압수수색
이날 SK이노베이션 압수수색과 관련해 경찰은 "경쟁업체가 전기차용 배터리 영업비밀 유출 혐의로 SK이노베이션을 고소한 건과 관련해 압수수색을 진행했다"면서 "혐의를 확인하는 과정이라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LG화학은 지난 5월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 등의 혐의로 SK이노베이션 및 인사담당 직원 등을 서울지방경찰청에 형사고소하고 수사를 의뢰한 바 있다. LG화학은 이번 압수수색에 대해 "경찰에서 SK이노베이션 관련 수사를 진행한 결과 충분한 증거를 확보했고 검찰 및 법원에서도 압수수색의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해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고 입장을 밝혔다.

LG화학은 SK이노베이션의 채용행위를 통한 산업기밀 및 영업비밀을 부정 취득한 정황을 설명했다. 우선 LG화학 출신의 지원자들에게 영업비밀탈취를 목적으로 악의적으로 구성한 이력서 양식에 구체적인 연구 프로젝트명, 참여 인원 이름, 프로젝트 리더 이름, 성취도 등을 작성하도록 요구했다는 것이다. 또 면접 과정에서 △LG화학의 세부 기술 내용이 기재된 발표자료 제출 △제출한 발표자료를 토대로 지원자가 발표하도록 요구 △경쟁사의 해당 분야 전문 인력 다수를 면접관으로 참석시킨 후 지원자의 발표를 듣고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고 LG화학 측은 주장했다.

LG화학은 "겉으로는 채용면접 형식을 취했으나 사실은 당사의 영업비밀 관련 내용 발표 및 질의응답을 통해 영업비밀 탈취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절차의 일환이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추측했다. 심지어 LG화학 출진 전직자 A는 이직 전 사내메신저를 통해 동료에게 "나랑 (SK이노베이션의)선행개발에 가서 여기(LG화학) 적용된 거 소개시켜주면서 2~3년 꿀 빨다가" 등의 말로 동반이직을 권유한 사례도 있었다고 LG화학은 밝혔다.

■ "배터리 사업 기회 잃을 수도"
SK이노베이션은 △여론전 자제 △대화를 통한 문제해결 의지 존중 △LG화학 직원 채용에 대한 정당성 △SK이노베이션의 저가수주 오해 등에 대해 사안별로 구체적인 설명과 입장문은 내놨다.

SK이노베이션은 이날도 '대화의지'를 강조했다. SK이노베이션은 법적인 절차를 거쳐 소명하겠다는 기본원칙 아래 대화를 통한 해결도 병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 근거로 △국가 차세대 먹거리로써의 배터리 산업 △국내 기업의 분쟁으로 해외 경쟁사 이득 △사업기회 손실 및 소송 비용 등을 제시했다. 배터리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주요 업체들끼리의 분쟁이 자칫 사업 기회를 잃어버릴 수 있다는 우려다.

또 지난 2011년 LG화학이 SK이노베이션을 상대로 제기했던 배터리 분리막 특허침해 소송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시 LG화학은 소송을 제기했지만 1, 2심에서 패하자 SK이노베이션에 합의를 제안해왔다고 밝혔다. SK이노베이션은 "LG화학은 지금 끝까지 가는 것이 지적재산권 보호라는 입장인데 분리막 소송 당시의 합의를 제안했던 것은 지적재산권 보호라는 관점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묻고 싶다"고 반문했다. 또 당시 소송으로 양사는 중요한 시장을 잃었다며 이번 소송도 자칫 그런 결과가 나올 수 있어 우려가 된다고 강조했다.

이번 소송의 발단이 된 LG화학 인력 채용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SK이노베이션은 △공개채용 원칙 △대리 과장급이 95% △LG화학 직원들의 지원 규모 등을 근거로 LG화학의 주장이 잘못됐다고 강조했다. SK이노베이션은 "SK이노베이션이 LG화학에서 채용해 간 경력직원이 100여명이라고 하는데, 이는 SK의 배터리 사업 경력사원 모집에 지원한 LG화학 출신 전체의 10%대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pride@fnnews.com 이병철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