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7 (화)

65세 이상 14%, 서울이 늙어간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004만명 중 141만 고령사회로

총인구 2010년 이후로 계속 줄어

이르면 올해말 1000만명 깨질 듯

서울시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의 14.4%를 차지해 처음으로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비교적 젊은 축에 드는 서울마저도 고령화 쓰나미를 비켜나지 못했다. 유엔은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총인구의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17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말 서울 인구는 1004만9607명이다. 65세 이상 인구는 141만 명으로 14.4%(전국 평균 14.8%)이다. 2005년 노인 비율이 7%를 넘으면서 고령화사회에 진입한 지 13년 만에 고령사회가 됐다. 이 추세로 가면 2026년에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은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열번째로 고령사회가 됐다. 전남의 고령화율은 21.9%로 이미 초고령사회가 됐다. 세종시가 9.3%, 울산이 10.7%, 경기도가 11.9% 등으로 상대적으로 젊다.

지난해 서울 인구 중 내국인이 976만5623명, 등록 외국인이 28만3984명이다. 서울 인구는 1992년 정점(1097만명)을 찍은 뒤 감소해오다 2004~2010년 증가했고, 그 이후 줄곧 줄고 있다. 지난해 인구는 92년 이후 가장 적다. 내국인은 계속 줄어서 2016년 1000만명이 깨졌다. 외국인은 1995년 4만5000여명에서 지난해 28만4000여명으로 23년 만에 5배 이상 증가했다. 하지만 외국인 증가가 서울 인구 감소를 막지 못한다. 서울 인구는 외국인을 포함한다. 내국인만 따지는 통계청 집계와 차이가 있다.

서울 인구 감소의 원인은 극심한 저출산과 전출 때문이다. 지난해 서울 출산율은 0.76명으로 전국 평균 0.98명보다 낮다. 이 때문에 자연증가(출생자-사망자)가 92년 14만5000여명에서 지난해 1만3000여명에 그쳤다. 92년 이후 서울 전출 인구가 전입보다 많다. 지난해에는 46만여명이 전입하고 57만여명이 전출해 순 전출이 11만명이었다. 최근 3년만 보면 전출자가 전입보다 연 8만명 많다. 이를 고려하면 올해 말이나 내년 초에 서울 인구가 1000만명 아래로 떨어질 전망이다. 88년 1000만명대에 진입한지 31년여만에 추락하는 것이다. 순 전출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도(13만5216명)이다. 서울 전입이 전출보다 가장 많은 데는 경상도(2만5321명)이다.

노인이 늘고 출산율이 줄면서 생산 가능 연령층(15~64세)이 노인을 부양하는 지표인 노년 부양비는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부양비는 34.1%이다. 15~64세 100명이 노인 34.1명을 부양해야 한다는 뜻이다.

서울시는 인구 변화 영향에 대해 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했다. 서울의 인구감소가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을 물었더니 “영향 없다” 39.6%, “부정적” 37.9%, “긍정적” 22.5% 순으로 응답했다. 인구감소로 인해 좋아지는 분야로는 자연환경(44.7%), 주거(43.1%), 교통(37.9%), 교육(30%) 순으로 응답했다. 반면 사회(60.9%), 복지(59.4%), 국방(47.5%), 경제(47%) 분야는 인구감소가 지속할수록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평가됐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올해 말이나 내년 초에 서울시 인구가 1000만 명 이하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다. 급격한 인구변화에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서영지 기자 vivia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