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레드햇 아태 총괄 “한국 통신시장 공략 강화할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르크 피터 반 리우벤 총괄 인터뷰

-KT에 레드햇 오픈소스 기술 적용

-한국 지사 10년 연속 두 자리 수 성장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정태일 기자]“5G가 공통 표준 및 네트워크 규모, 독자성 측면에서 많은 것을 요구하고 있어 기술적으로 오픈소스가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세계 최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기업 레드햇의 디르크 피터 반 리우벤〈사진〉 아시아 태평양 총괄(수석부사장)은 17일 헤럴드경제와의 인터뷰에서 한국 시장에서 더욱 집중하려는 분야는 금융, 공공과 함께 통신 이라고 밝혔다.

특히 세계 최초로 5G 상용 서비스를 시작한 한국에 대해 그는 “5G 관련 여러 기술이 도입되면서 오픈소스 시장이 크게 성장하는 데 많은 기여를 했다”며 “오픈소스는 5G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필수 요소로 오픈스택 영역에서 수요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오픈스택은 프라이빗 및 퍼블릭 클라우드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오픈소스 도구의 조합이다. 5G 도입으로 클라우드 시장도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통신사의 오픈스택 활용 또한 늘어나고 있다.

이와 관련 레드햇 측은 국내 통신 3사 중 KT와 협업해 현재 내부용 프라이빗 클라우드(Internal Private Cloud)를 제공하고 있다. 그는 향후 외부용 프라이빗 클라우드(External Private Cloud)에도 레드햇 기술이 적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레드햇은 국내 통신사들과 2개월 전부터 5G ‘단독(standalone)표준’ 관련 오픈소스를 활용한 프로젝트도 진행하고 있다.

새로운 기술이 등장할 때마다 오픈소스가 폭넓게 활용되면서 레드햇은 지난 10년간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반 리우벤 총괄은 “글로벌 경영 실적으로 레드햇은 68분기 연속 매출이 성장하고 있다. 이는 IT업계에서 전례가 없는 경우”라고 말했다.

레드햇 한국 지사 역시 최근 10년 동안 매년 두 자리 수 매출 상승을 기록하고 있다.

이에 대해 반 리우벤 총괄은 “아마존웹서비스, 에어비엔비, 우버보다 훨씬 앞서 레드햇은 1993년부터 공유 모델을 도입했다”며 “무료로 공개된 오픈소스를 각 기업들이 맞춤형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해온 것이 연간 30억달러 이상 매출을 올릴 수 있는 비결”이라고 말했다.

killpass@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