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한·사우디 소형원전 상용화·고도화 기술협력 착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IAEA 총회기간 중 '한·사우디 포괄적 원자력 연구개발 협력 MOU'

아시아경제

17일 문미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오른쪽)이 왕립원자력신재생에너지원 칼레그 알술탄 원장과 MOU를 체결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문미옥 제1차관이 국제원자력기구(IAEA) 정기총회가 열리고 있는 오스트리아 빈에서 17일(현지시간) 사우디 측 수석대표인 왕립 원자력·신재생에너지원 원장과 만나 소형원자로 '스마트(SMART)' 건설사업과 원자력 연구개발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한-사우디 포괄적 원자력 연구개발 협력 MOU'와 '한-사우디 원자력 공동연구센터 설립 및 운영에 관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한-사우디 포괄적 원자력 연구개발 협력 MOU'는 ▲스마트 표준설계인허가 및 사우디 내 건설·인허가 지원 ▲혁신형 스마트 개발 ▲원자력안전 등 스마트 건설 및 상용화를 위한 기술협력 ▲한-사우디 원자력 공동연구센터 설립 등의 내용을 담았다. 양국은 공동으로 스마트 건설 전 설계 결과물에 대한 국내 표준설계인가 획득을 추진함으로써 사우디 건설허가를 지원하고, 스마트가 세계 소형원전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신기술을 접목해 경제성, 안전성 및 운전유연성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키는 차세대 스마트 노형을 개발할 계획이다.


또한 올해 말 한-사우디 원자력 공동연구센터를 개소해 사우디 원자력연구원 설립을 지원하고 스마트 혁신요소기술개발, 안전해석 코드 등에 대한 공동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MOU 체결에 앞서 열린 양자 회담에서는 스마트 건설 전 설계 사업 완료 이후 후속 건설협력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해 스마트 인허가, 비즈니스 모델 마련, 첫 호기 건설, 공동 수출 기반 구축 등 4개의 건설 협력분야에 대한 협력사항을 도출했다. 또한 현재 소형원전 도입을 추진 중인 중동 및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스마트를 수출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문미옥 제1차관은 "이번 연구개발 협력 MOU와 원자력 공동연구센터 설립을 통해 스마트 인허가, 건설, 상용화, 고도화로 이어지는 기술협력을 추진함에 따라 스마트의 건설과 세계 소형 시장 진출을 위한 한-사우디 전략적 파트너십이 한층 강화됐다"라고 밝혔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