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韓·사우디 소형원전 '스마트' 상용화 기술협력 착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서울=뉴시스】왕립원자력신재생에너지원(K.A.CARE) 칼레그 알술탄 원장(왼쪽),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문미옥 제1차관.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2019.09.18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이진영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문미옥 제1차관이 국제원자력기구(IAEA) 정기총회가 열리고 있는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17일 현지시각 사우디 측 수석대표인 왕립 원자력·신재생에너지원장과 만나 양국 간 '스마트'(SMART) 건설사업과 원자력 연구개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스마트는 1997년부터 원자력연구원 등 국내 연구기관과 산업체가 협력 개발해 2012년 표준설계인가를 받은 다목적 일체형소형원자로를 지칭한다.

과기부는 또 같은 날 사우디 왕립 원자력·신재생에너지원과 '한-사우디 포괄적 원자력 연구개발 협력 업무협약(MOU)과 '한-사우디 원자력 공동연구센터 설립 및 운영에 관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MOU에는 ▲스마트 표준설계인허가 및 사우디 내 건설·인허가 지원 ▲혁신형 스마트 개발 ▲원자력안전 등 스마트 건설 및 상용화를 위한 기술협력 ▲한-사우디 원자력 공동연구센터 설립 등의 내용이 담겼다.

특히 양국은 스마트 건설 전 설계(PPE) 결과물에 대한 국내 표준설계인가 획득을 추진함으로써 사우디 건설 허가를 지원하기로 했다.

스마트 건설 전 설계(PPE, Pre-Project Engineering) 사업은 한국과 사우디가 총 1억3000억 달러(사우디 1억 달러, 한국 3000억 달러)를 투자한 공동 사업으로, 원자력연구원 및 국내기업(한전기술, 원전연료, 포스코건설, 두산중공업 등)이 설계에 참여했다.

양국은 스마트가 세계 소형원전 시장에서 확실한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신기술을 접목해 경제성, 안전성 및 운전유연성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키는 차세대 스마트 노형을 개발한다는 구상이다.

문미옥 차관은 "이번 연구개발 협력 MOU와 원자력 공동연구센터 설립을 통해 스마트 인허가-건설-상용화-고도화로 이어지는 기술협력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며 "스마트 건설과 세계 소형 시장 진출을 위한 한-사우디 전략적 파트너십이 한층 강화됐다"라고 말했다.

mint@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