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5세대 이동통신

KT, 실내·지하 5G 커버리지 확대 잰걸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권하영기자] KT가 전국 5G 인빌딩 구축에 속도를 낸다.

KT는 5G RF 중계기의 성능과 효율을 높인 '5G 스마트 빔 패턴 동기화 기술' 상용화에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기술을 통해 더 많은 지역에서 5G 인빌딩 커버리지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T가 개발한 스마트 빔 패턴 동기화 기술은 RF 중계기와 5G 기지국 간 동기화 과정에서 복잡한 전자부품이나 불필요한 하드웨어 구조 없이도 동기 신호를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하나의 장비에서 동시에 송신과 수신을 하기 위해 자원 분할을 통한 다중통신방식을 사용한다. 5G의 경우 일반적으로 시간 분할 방식(TDD)을 사용하고 있어 기지국과 RF 중계기 간의 통신을 위해 동기 신호를 필수적으로 획득해야 한다.

도심처럼 기지국이 촘촘하게 설치되어야 하는 지역에는 아날로그 동기 방식이 유리하다. 다만 지금까진 정확한 동기 신호 추출이 어려워 상용화가 불가능했다. 반면 디지털 동기 방식은 동기 신호를 정확하게 추출하는 대신 넓은 커버리지를 구축하기가 어려웠다. 전파가 혼재되면 동기 정확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단점도 있다.

KT가 두 방식의 장점을 통합해 개발한 것이 스마트 빔 패턴 동기화 기술이다. 복잡한 디지털 신호처리부 없이 지능형 동기화 알고리즘으로 정확한 동기 신호 추출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해당 기술을 적용하면 중계기 장비 내부 지연을 발생시키는 전자부품의 설계를 최소화해 하드웨어 구조가 단순화된다. 이 덕분에 지연시간이 50% 줄어들고 장비의 소비전력과 발열도 감소한다. 또 중계기 장비를 소형화할 수 있어 설치 장소의 제약이 덜해진다. 중계기 단가도 감소해 더 많은 지역에 5G 인빌딩 커버리지 투자를 할 수 있다.

KT는 관련 기술에 대한 특허 출원을 완료, 스마트 빔 패턴 동기화 기술을 적용한 5G RF 중계기에 대해 주파수 안정도,최대출력,전파지연 등 검증을 마쳤다. 이를 통해 상용 5G 기지국 및 단말과의 연동에 성공했다.

향후 이 기술이 적용된 5G RF 중계기를 전국적으로 구축해 지하 소규모 공간, 중소형 건물을 포함한 5G 인빌딩 커버리지를 빠르게 늘려나가겠다는 방침이다.

KT 네트워크연구기술지원단장 이수길 상무는 '이번 5G RF 중계기 개발 성공은 KT의 아이디어와 국내 중소기업과 상생 협력을 통한 성과'라며 '앞으로도 1등 커버리지와 품질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신기술을 개발해 5G 기술을 선도하겠다'라고 말했다.

<권하영 기자>kwonhy@ddaily.co.kr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