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세계 금리 흐름

이주열 “美 기준금리 인하 시장 예상 수준…추가 인하 여지 닫은거 아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9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으로 출근하며 미국의 금리 인하에 관한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정책금리를 0.25%포인트 낮춘 것은 시장에서 충분히 예상했던 바에 부합한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9일 출근길 기자들과 만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결정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이번 미국 기준금리 인하가 앞으로 한국은행 통화정책 방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건 아니라는 얘기다.

이 총재는 이날 “연준이 향후 통화정책 방향에 대한 입장을 그대로 유지함에 따라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운영에 있어 연준에 대한 고려는 이전과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히려 미 연준의 금리 인하 결정은 다른 국가들의 통화 정책 결정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는 측면이 있다고 평가했다.

연준은 전날 이틀간의 FOMC 회의를 마치고 정책금리를 연 1.75~2.00%로 기존보다 0.25%포인트 인하했다. 지난 7월 말 기준금리를 낮춘 데 이어 약 두 달 만에 금리 인하 카드를 또 꺼낸 것이다.

중앙일보

한·미 기준금리 추이.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미국 추가 금리 인하는 이어질까.

하지만 국내외 금융시장에서는 추가로 금리를 낮추겠다는 확실한 신호를 보내지 않았다는 점에서 매파(통화 긴축 선호)적으로 돌아섰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이 총재는 “미 연준은 경기 확장세 유지를 위해 필요한 경우 적절한 조치를 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며 “추가 인하 여지를 닫은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한은 기준금리 결정에 있어 고려할 주요 변수로는 국내외 경제 불확실성을 꼽았다. 그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분쟁에 더해 지정 학정 리스크가 곳곳에서 커지고 있다”면서 “특히 유가는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중동 사태도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얘기했다.

국내 주식시장은 미국 기준금리 인하를 반기는 모습이다. 10시 51분 현재 코스피는 외국인 매수세에 힘입어 전날보다 0.51%(10.57포인트) 오른 2081.11에 거래되고 있다.

염지현 기자 yjh@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