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끝나지 않은 신분제의 유습 '갑질'

[현장에서]찜찜한 뒤끝 남긴 롯데푸드 ‘갑질’ 국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신동빈 회장 출석 요구했던 이명수 의원 "롯데 흠집 내기 아냐"

정무위 소관 '기업갑질' 문제를 복지위 국감서 다뤄

"지역구 챙기기 아니냐" 빈축

[이데일리 김유성 기자]“결코 롯데 측을 흠집 내려는 의도가 아니다. 좀 더 바람직한 기업이 되길 바라는 취지였다.”

롯데푸드의 갑질 의혹 사건에 그룹 총수인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을 국감장 증인으로 출석 요구했던 이명수 자유한국당(충남 아산시 갑) 의원. 이 의원은
이데일리

이명수 자유한국당 의원.


7일 국회보건복지위원회 국감 증인으로 출석한 조경수 롯데푸드 대표에게 질의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국감 증인으로는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신청됐다. 이 의원이 자기 지역구인 아산시 소재 후로즌데일리라는 업체가 롯데푸드의 갑질로 파산했고 피해를 본 상황에서, 합의마저 지지부진하다는 게 이유였다. 지난 4일 조경수 롯데푸드 대표로 증인이 변경됐지만 ‘그룹 총수 망신주기가 또 시작’이라는 빈축을 들어야만 했다.

문제는 지역 기업과 그룹 계열사 간 갑질 의혹 문제로 그룹 대표도 아닌 총수를 굳이 증인으로 불러 세웠어야 하느냐는 점이다. 이날 국감 직전에는 이 의원이 ‘지역구 기업 민원을 지나치게 챙긴다’는 비난과 함께 롯데푸드에 합의를 종용했다는 보도까지 나왔다.

또 다른 문제는 피감기관이 복지부 산하 식약처와 연관 기관인 상황에서 기업 갑질 문제를 국감 주제로 삼은 것이 적절했느냐는 점이었다.

이 의원도 이 부분을 의식했다. 그는 “공정과 정의 차원에서 경제적 약자인 소상공인의 아픔에 관심 가져달라는 취지”라면서 “불공정 거래는 정무위 사안이지만, 이번 사안은 식품 안전과 연계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신 회장을 증인으로 신청했던 이유에 대해서도 이 의원은 설명했다. 이 의원은 “대기업에 납품하는 식품제조업체들은 규모가 작고 영업이익률도 낮다”면서 “세간에서 말하는 갑질 문화가 남아 있는 게 아닌가 싶어 기업 문화를 변화시킬 그룹 총수께 나와 달라고 한 것”이라고 했다.

사실 롯데푸드와 후로즌데일리 사건은 2010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롯데푸드는 충남 아산 지역 빙과업체인 후로즌데일리로부터 팥빙수를 납품받다가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을 충족하지 못했고, 제품에서 식중독을 일으키는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된 후 거래를 중지했다. 주요 납품처를 잃은 후로즌데일리는 부도를 맞게 됐다.

이 사건은 2014년 국감장에서 공론화됐다. 이 의원이 김용수 당시 롯데푸드 대표를 국감장 증인으로 채택했던 것. 이후 양사는 합의서를 작성하고 후로즌데일리는 보상금 7억원을 지급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다시 양사 간 분쟁이 일어났다. 후로즌데일리의 전 모 대표는 또다시 이 의원에게 민원을 제기했다. 올해 들어 이 의원 측이 중재에 나섰다.

이날 국감장에서도 이 의원은 양측 간 중재를 종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의원은 조 대표에게 “식약처 자료를 보면 롯데는 다른 제과나 식품회사와 비교해 식품 안전 위반 사례가 비교적 많다”면서 “이런 사안들의 원인이 식품 단가를 낮추고 자사 이익을 높이려는 데서 파생된 게 아니냐”고 압박했다.

이 의원의 압박은 계속됐다. 그는 “다른 지역에서도 이런 유사한 사례가 있다는 전화나 제보가 있었다”면서 “식품만의 문제가 아니라 롯데마트와 수탁계약한 ‘ㄴ’ 통상이 자체 브랜드(PB) 상품의 부당 감액 문제를 호소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공정거래 차원에서 정부가 할 일이 있고 전반적으로 제도적인 개선을 위한 기업의 새로운 노력이 필요한가”라고 물었다.

조 대표는 “(후로즌데일리) 전 사장하고는 2014년 8월 합의서가 작성됐다”면서 “합의서를 보면 적절한 가격과 품질이면 적극적으로 도와주겠다고 했는데, 다른 경로 매출을 요구하는 등 우리가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었다”고 답했다.

질의 말미 이 의원은 자신을 둘러싼 언론보도를 의식한 질의도 했다. 당사자 간 합의를 종용했다는 보도다.

그는 “언론보도 증인 출석과 관련해 일부 다른 내용이 있다”고 해명한 뒤 “그런 언론보도 내용이 사실과 다른 내용이 있는가”라고 조 대표에게 확인받듯 되물었다. 조 대표는 “언론을 통해서 본 것은 있지만 의원님을 통해 (롯데푸드가) 요구받은 것은 없다”고 답했다.

주제 선정, 증인 신청, 질의 내용 어느 것하나 앞뒤가 맞는 것이 없었다. ‘갑질’은 누가 하는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