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의 한 임산부 배려석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경제 한승곤 기자] 10일 임산부의 날을 맞아 임산부에 대한 사회적 배려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 가운데 임산부 절반 이상은 대중교통 좌석 양보 등 배려를 받지 못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반면 일각에서는 임산부 배려석이 강제가 아닌 선택의 영역인 만큼, 배려를 강요해서는 안된다는 의견도 있어 이를 둘러싼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지하철 임산부 배려석은 서울특별시의 여성정책 일환으로 서울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도로교통공사가 2013년 12월부터 도입했다.
임산부 배려석은 노약자석과 별개로 일반석 7석 중 출입문과 가장 가까운 쪽 좌석 2곳을 지정, 임산부들이 쉽게 이동할수 있도록 배려한 좌석이다.
문제는 이를 둘러싼 다툼이나 민원이 끊이질 않는다는 데 있다.
보건복지부는 오늘(10일) 임산부의 날을 맞아 인구보건복지협회에서 지난달 26일부터 이달 5일까지 임산부 3천212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54.1%에 해당하는 임산부가 배려를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배려받지 못한 사유로는 "배가 나오지 않아서"가 57.1%를 차지했다.
임산부가 필요하다고 본 배려로는 가정에서는 청소, 빨래 등 가사 지원(46.8%)을, 직장에서는 출퇴근 시간 조정(31.1%)을, 사회적으로는 대중교통에서의 좌석 양보(37.8%)로 나타났다.
관련해 복지부는 "임산부가 생명을 키워내는 일에 이웃과 동료, 사회, 직장 및 가족이 함께해야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평가 결과가 나왔다"고 설명했다.
관련해 30대 직장인 A 씨는 배려는 강요가 아닌 선택이라고 강조했다. A 씨는 "버스나 지하철에서 임산부를 위한 자리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면서 "다만 이는 강제가 아닌 개인의 선택 영역인 배려다. 배려를 강조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20대 직장인 B 씨는 "임산부 배려석 논란은 계속 일어나는 걸로 알고 있다"면서 "물론 임산부 배려석이 임산부만을 위한 강제 배려석이 아니지만, 임산부가 앞에 있다면 배려를 해주는 게 맞는 것 같다"고 강조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
임산부 배려석을 둘러싼 생각이 첨예하게 맞서는 가운데 관련 민원도 하루에만 수십 건이 이어지고 있다.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임산부 배려석 관련 민원 건수는 2만7589건에 달했다. 하루 평균 75건의 민원이 들어온 셈이다.
서울지하철 1~8호선 이용 시민 6179명(일반인 4977명, 임산부 12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는 비임산부 응답자의 39.49%가 임산부 배려석에 앉아 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임산부가 아닌데도 임산부 배려석에 앉은 이유로는 '자리가 비워져 있었기 때문'이 54.64%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강제가 아닌 배려석이라서'(26.68%), '다른 사람도 앉아서'(8.9%) 순이었다.
배려석에 앉았을 때 임산부가 있을 경우 어떻게 했느냐는 물음에는 '임산부인지 알면 양보한다'(54.66%), '임산부인지 몰라도 양보한다'(39.50%), '임산부인지 몰라서 양보 안 한다'(3.49%) 등의 응답이 나왔다.
전문가는 임산부를 배려하는 사회적 문화가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김동식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센터장은 지난해 12월 인구보건복지협회 주최로 열린 '임신 경험으로 본 배려문화와 지원정책' 토론회에서 "배려는 인식만으로는 불충분하다. 실천이 동반되어야 (상대방에게) 배려가 된다"고 설명했다.이어 "이를 위한 지속적인 캠페인과 교육을 통해 사회적인 공감대가 형성되고, 곧 실천으로 이어지도록 더욱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승곤 기자 hs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