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시민단체 “부산 55보급창을 공원으로 만들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한미군 55보급창 돌려받아 공원화 제안

북항 재개발 등으로 재원확보 제시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산에 있는 주한미군 55보급창을 돌려받아 공원으로 만들자는 제안이 나왔다.

부산 시민사회단체 60여개로 꾸려진 ‘미군 55보급창 반환 범시민운동본부’(운동본부)는 “최근 열었던 시민 대토론회에서 옛 미군 하얄리아부대 반환 뒤 공원화(현 부산시민공원)한 것을 본보기로 삼아 55보급창도 공원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고 20일 밝혔다.

정주철 부산대(도시공학과) 교수는 토론회에서 “55보급창을 공원화해 부산의 녹지 축으로 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시했다. 55보급창 터 매입에는 4600여억원이 들 것으로 추산된다. 그는 공공성과 사업성을 확보하는 재원확보 방안으로 북항 재개발 2단계 사업 수익금을 55보급창 터 매입과 공원화에 사용하자고 했다. 그는 “북항 재개발 목적은 시민에게 공공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북항 근처의 55보급창 공원화 취지와 맞물린다. 55보급창이 공원화되면, 근처 지역 가치를 높여 부가적인 이익이 나타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55보급창을 공원으로 조성하기 위한 재원은 2030 세계등록엑스포에 지원되는 국비를 활용해 마련하자는 방안도 나왔다. 부산시는 등록엑스포를 북항 재개발 2단계 구역에 유치하고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유치가 확정된다면 국비 활용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또 근처 도심하천인 동천 관련 정비사업과 연계하거나, 문현혁신도시 3단계 개발과 연계하자는 등 여러 방안도 제시됐다.

박재율 운동본부 공동대표는 “시민사회가 결집하고, 민·관이 긴밀하게 협력해야 한다. 지역 정치인들도 여·야를 떠나 이 문제에 적극 관심을 두고 정부 등을 설득해야 한다”고 말했다. 운동본부는 55보급창 관련 시민 걷기대회나 시민 원탁회의를 열 계획이다.

55보급창은 일제강점기 때 일제가 군수물자를 보관하려고 부산항 근처에 21만7755㎡ 규모로 만들었다. 해방 뒤 미군이 55보급창을 인수해 보급창고로 사용하고 있다. 1995년 시민들은 하야리아 기지와 55보급창 터 되찾기 운동을 시작했는데, 전략적 가치가 있던 55보급창은 빠지고 하얄리아부대 터만 반환됐다. 현재 55보급창 근처에는 북항 재개발 지역,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부산역, 문현금융단지 등이 자리하고 있다. 지역 시민단체들은 지난 5월 운동본부를 출범해 55보급창 반환 활동을 펼치고 있다.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

▶동영상 뉴스 ‘영상+’
▶한겨레 정기구독▶[생방송] 한겨레 라이브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