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2019국감]"증권사 부동산PF 부실 선제관리 시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데일리 장순원 기자] 제2금융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21일 국회 정무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유동수 의원실에 따르면, 2018년말 기준으로 전 금융권 부동산PF 대출 잔액은 64조원으로 2013년말(39조3000억원) 이후 연평균 10.2%씩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2013년 이후 은행의 부동산PF 대출은 감소하였으나, 비은행금융기관의 부동산PF 대출은 증가하는 추세다. 비은행금융기관은 은행에 비해 유동성이나 자본력이 낮은 점을 감안할 때 부동산 경기 하강시 PF대출 건전성이 일시에 악화할 가능성이 큰 편이다.

특히 작년말 부동산 PF 채무보증 규모는 25조8000억원으로 2013년말과 견줘 13조7000억원 급증(113%)했다. 대부분은 증권사에 취급했다. 최근 5년간 증권사의 채무보증 규모는 꾸준히 증가해 올해 6월 말 기준으로 42조1000억원 수준이다. 자기자본 대비 채무보증비율도 꾸준히 상승해 2019년 6월 말 기준으로 72.1%에 이른다.

증권사 채무보증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신용 공여형 채무보증이 2014년말 약 13조원에서 2019년 6월말 약 35조원으로 급격히 늘었다. 경기가 식으면 증권사의 신용 공여형 우발채무가 현실화할 수 있다.

유 의원은 “준공 후 미분양 주택수 증가, 경락률 하락세, 상업용 부동산 공실률 상승 등 현재 부동산 경기 하강 징후들이 감지되면서 대출 부실화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금융감독당국 차원에서 제2금융권에 대한 선제적 리스크 관리 강화 방안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