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이슈 은행권 DLS·DLF 사태

대규모 손실난 DLF, 수익률 3% 상품이 전체 5분의 1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파이낸셜뉴스] 하나·우리은행이 판매한 파생결합상품(DLF)은 최고수익이 3%대가 전체 판매액의 5분의 1을 차지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의원(성남시 분당을)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하나·우리은행 DLF 최고수익 금리대별 현황'에 따르면 최고 수익이 3%대인 상품이 574건, 1485억원이 판매돼 전체 판매액(7626억원)의 1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에서 판매된 DLF는 최고수익 4%대는 2575건 5287억원(69%)으로 가장 많이 판매됐다. 5%대는 380건 816억원, 6%대는 6건으로 38억이 판매돼 대부분 최고수익이 3~4%대로 6772억원(89%)이 판매됐다.

하나은행은 최고금리 3%대가 340건, 826억이 판매되어 전체 판매액 대비 비율이 20.73%, 4%대 1358건, 2664억원이 판매돼 66.85%, 5%대가 250건, 495억으로 12.42%로 나타났다. 우리은행은 3%대가 234건 659억원(18.09%), 4%대가 1217건 2,623억원(72.04%), 5%대가 130건, 321억원(8.82%), 6%대가 6건 38억(1.05%) 판매된 것으로 분석됐다.

김 의원은 "금융사들은 DLF 설계·판매·관리 명목으로 리스크 없이 6개월간 최대 4.93%의 수수료를 가져가는데, 고객은 원금 손실의 부담은 다 안고 수익률은 연 3%대 밖에 되지 않는 상품도 있다"며 "구조적으로 투자자에게 불리한 상품"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최고이익이 3~4%대에 불과해 은행으로부터 정확한 설명 없이 예적금 금리보다 조금 높은 상품으로 안내받고 가입한 고객도 상당하며 이로 인해 최대 100% 손실도 가능한 초고위험 상품이라고 인지하지 못한 경우가 많아 피해가 커진 측면이 있다"고 밝혔다.

lkbms@fnnews.com 임광복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