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정재호 의원, 코스피·코스닥 신규상장사 갈수록 줄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포츠서울

제공|정재호 의원실


[스포츠서울 이주희 기자] 코스피, 코스닥 등 유가증권시장의 신규 기업공개(IPO) 숫자가 해마다 줄고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정재호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유가증권시장에 신규 상장한 기업 수는 36개로 지난해(77개) 대비 절반 수준도 못 미쳤다.

신규 IPO 시장이 해마다 축소되고 있는 모습은 증권사 IPO 인지수수료 시장에서도 그대로 나타난다. 2016년 1025억원을 기록한 코스피와 코스닥의 인지 수수료 시장이 올해는 3분의1 규모로 축소됐다.

특히 자본시장의 첨병 역할을 할 수 있는 이른바 빌리언 클럽, 시가총액 1조원 이상의 신규상장기업 역시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재호 의원은 “IPO 시장에서 공모가가 높고 시가총액 규모도 큰 기업이 등장할 경우 증시 현황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져 기존 상장기업들의 가치도 동반성장하는 효과가 있다”며 “코스피 주가지수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2017년 총 7개의 빌리언 클럽 기업이 나타난 것은 이를 방증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이후 2018년에는 0건, 올해는 2건에 그치고 있어 앞으로 자본시장의 새 활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더했다.

한편 최근 3년간 증권사 중 신규 IPO 시장 주관 순위를 살펴보면 미래에셋대우,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의 3파전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에셋대우의 경우 최근 3년간 ING생명 등 총 40개 회사를 주관하며 약 658억원의 인지수수료를 기록했고 한국투자증권은 넷마블게임즈 등 51개 회사를 주관하며 612억원의 인지수수료를 받았다.

해외 증권사의 경우, 비교적 공모가 밴드가 높은 대어급 우량기업의 IPO를 선별·주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JP모건의 경우 상장 직후 13조원이라는 경이적 기록을 세운 넷마블게임즈 등 단 3개 회사만을 주관하며 총 90여억원을 챙겼다.

hh224@sportsseoul.com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