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유동수 "제2금융권 부동산PF↑…리스크관리 강화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부동산 경기가 하강하면서 제2금융권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을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21일 국회 정무위 소속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 전 금융권 부동산PF 대출 잔액은 64조원으로 2013년말(39조3000억원) 이후 연평균 10.2%씩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2013년 이후 은행의 부동산 PF대출은 감소했으나 비은행금융기관의 부동산 PF대출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은행금융기관은 은행에 비해 유동성이나 자본력이 낮아 부동산 경기 하강시 PF대출 건전성이 일시에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작년 말 부동산 PF 채무보증 규모는 25조8000억원으로 2013년(12조1000억원) 대비 13조7000억원(113%)이 급증했다. 이중 대부분은 증권사에 취급했으며, 최근 5년간 증권사의 채무보증 규모는 꾸준히 증가해 올해 6월 말 기준 42조1000억원에 달했다. 자기자본 대비 채무보증비율도 꾸준히 상승해 6월 말을 기준으로 72.1%에 이르렀다.

증권사 채무보증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신용공여형 채무보증이 2014년말 12조8000억원에서 올해 6월말 34조7000억원으로 급격히 늘었다. 부동산 경기가 하락하면 증권사의 신용공여형 우발채무가 현실화 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유 의원은 "준공 후 미분양 주택 수 증가, 경락률 하락세, 상업용부동산 공실률 상승 등 현재 부동산 경기 하강 징후들이 감지되면서 비은행금융기관의 부동산PF대출 부실화 및 증권사의 부동산PF 우발채무 현실화에 대한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2011년 저축은행 부실사태 당시 파산 저축은행의 부동산담보대출금액이 총 14조7000억원이었고, 손실액 규모가 10조8000억원에 달해 우리 금융산업에 커다란 부담으로 작용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금융감독당국 차원에서 제2금융권에 대한 선제적 리스크 관리 강화 방안이 필요하다"라고 전했다.

홍민영 기자 hong93@metroseoul.co.kr

ⓒ 메트로신문(http://www.metroseoul.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문의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