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더불어민주당 제윤경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우리·KEB하나은행에서 판매된 해외 금리 연계 DLS 7950억원어치에 대해 미국 JP모건과 프랑스 소시에테제네랄 등 외국계 투자 은행들이 받아간 수수료는 총 77억1700만원이었다.
윤석헌 “DLS는 도박… 금융회사들 책임져야” - 21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은성수(오른쪽) 금융위원장이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은 위원장 옆에 앉은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최근 원금 전액 손실 사태가 발생한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증권(DLS)에 대해 “일종의 갬블(도박)을 이 사람들(금융회사)이 만든 것이고 그 부분에 대해서 금융회사들이 책임져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DLS 설계·판매 과정에 관여한 국내 금융사들도 37억원의 수수료를 수취했다. 해당 DLS를 판매한 우리은행은 12억원, 하나은행은 10억원의 수수료를 받았다. 하나금융투자·IBK투자증권·NH투자증권 등 증권사는 9억7200만원, 교보악사·HDC·유경PSG 등 자산운용사 10곳은 운용 보수로 총 5억5100만원의 수익을 거뒀다. 투자자들 중 일부는 원금 전액을 손실 본 경우도 있었는데, 상품을 설계한 금융사들은 위험 없이 수수료만 받아간 셈이다.
이 과정에서 증권사는 손실에 대비해 외국계 IB와 헤지(위험 회피) 계약을 체결했고 외국계 IB는 증권사의 손실 위험을 떠안는 대가로 수수료를 받았다. 외국계 IB 역시 해외 파생 거래 시장에서 상품에 대한 헤지 거래를 했다. 이 상품 설계와 판매에 관여한 모든 금융사는 리스크 헤지를 통해 금리 등락과 관계없이 수수료 수익을 얻은 것이다. 제 의원은 "개인에게 팔리는 원금 손실 상품에 대해 설계부터 판매 과정까지 근본적인 제도 개선책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형석 기자(cogito@chosun.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