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칠레시위 불똥 튈라…브라질 보우소나루 정부 긴장속 사태 주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시카고학파' 경제장관이 본뜬 칠레식 연금제도·민영화가 시위 원인 진단

(상파울루=연합뉴스) 김재순 특파원 = 지하철 요금 인상에서 촉발된 칠레의 시위 사태가 확산하면서 자이르 보우소나루 브라질 대통령 정부가 긴장하고 있다.

칠레 시위의 근본 원인을 공공서비스의 민영화에서 찾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잇따르면서 비슷한 길을 걷는 보우소나루 대통령 정부도 대규모 저항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21일(현지시간) 브라질 뉴스포털 UOL에 따르면 칠레 대학 경제경영학부의 안드라스 우토프 교수는 연금제도를 비롯해 세바스티안 피녜라 대통령 정부의 우파 정책에 대한 불만이 칠레 시민을 거리로 나서게 했다고 주장했다.

시위는 지하철 요금 인상에 대한 반발로 시작됐으나 그 뿌리에는 보건, 교육, 교통, 주거환경, 에너지 등 공공서비스를 민간에 넘기면서 지출 부담이 늘어난 데 대한 반발이 한꺼번에 터져 나오는 것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연합뉴스

보우소나루 대통령(왼쪽)과 게지스 경제부 장관 [국영 뉴스통신 아젠시아 브라질]



보우소나루 정부는 파울루 게지스 경제부 장관이 제시한 개혁 모델의 상당 부분이 칠레를 본뜬 것이라는 점에서 이번 시위 사태의 불똥이 튈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

이른바 '시카고학파' 출신인 게지스 장관은 공공 지출 축소, 연금·조세제도 개혁, 감세, 정부 소유 부동산 매각, 정치인·공무원 특권 축소, 공무원 감축 등 친시장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또 과거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전 대통령이 집권했던 1980년대 칠레에서 대학교수로 재직한 경험을 살려 공기업 민영화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연합뉴스

군인들과 대치하고 있는 칠레 시위대 [브라질 뉴스포털 G1]



올해 초 취임한 보우소나루 대통령도 역대 브라질 대통령이 남미 국가 가운데 아르헨티나를 가장 먼저 방문하던 관례를 깨고 지난 3월 칠레로 향했다.

당시 보우소나루 대통령은 칠레를 지난 20년간 국민소득과 교육, 과학기술, 무역 등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둔 중남미에서 가장 중요한 국가라고 평가하면서 칠레를 모범사례로 삼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연합뉴스

칠레 수도 산티아고에서 벌어진 시위 [브라질 뉴스포털 G1]



브라질 정부가 추진하는 연금개혁안은 하원에 이어 상원 통과 절차를 거치고 있다. 연금개혁안은 연금 수령 연령을 단계적으로 높이고 연금 최소 납부 기간은 늘리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이와 함께 보우소나루 대통령의 임기가 끝나는 2012년까지 350∼400개 공기업 민영화를 계획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노동계를 중심으로 연금개혁과 민영화 등 게지스 장관의 개혁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민영화에 대해서는 여론도 반대 의견이 압도적으로 우세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앞으로 상당한 반발이 예상된다.

fidelis21c@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