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책에서 세상의 지혜를

"바티칸 재정 악화 심각, 2023년 파산 위험"…교황청 "사실 아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이탈리아 저널리스트 잔루이지 누치. [EPA=연합뉴스]


바티칸 교황청의 재정이 심각하게 악화하고 있으며 이대로 가면 2023년쯤 파산할 위험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탈리아의 저널리스트 잔루이지 누치는 21일(현지시간) 발간한 저서 『최후의 심판(Il Giudizio Universale)』에서 이같이 지적했다고 영국 일간 더 타임스 등 외신이 보도했다.

3000여 개의 바티칸 기밀자료를 분석해 썼다는 이 책에서 누치는 바티칸이 2017년 3200만달러(약 375억원)에 이어 지난해 4390만달러(약 514억원)의 재정적자를 기록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바티칸의 재정 상태가 우려스러운 수준에 도달했다면서 특단의 대책이 없다면 '디폴트'(채무불이행)에 이를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누치는 바티칸 재정이 급격히 악화한 핵심 원인 중 하나로 기부금 감소를 꼽았다. 그에 따르면 바티칸의 기부금 수익은 2006년 1억100만달러(약 1184억원)에서 2016년 7000만달러(약 820억원)로 급감했다. 현재는 6000만달러(약 703억원)를 밑돌고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기부금이 줄어든 이유로는 최근 사제의 잇따른 미성년자 성 추문 사건으로 가톨릭교회의 위상과 신뢰에 금이 간 것을 꼽았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주도하는 개혁 드라이브에 대한 조직적인 내부 저항 등도 현 위기를 초래한 원인으로 언급했다.

바티칸 재정의 근간인 부동산 수익성이 급감한 것 역시 교황청에 치명타가 됐다고 누치는 짚었다. 바티칸이 소유한 부동산은 2926곳에 달하는데 작년 여기서만 2260만달러(약 265억원)의 손실이 발생했다. 바티칸이 부동산 투자에서 손실을 기록한 것은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도 담당자들의 관리 부실, 방만한 조직 문화 등이 교황청을 현 상황에 이르게 했다고 누치는 지적했다.

중앙일보

프란치스코 교황. [AFP=연합뉴스]


하지만 교황청은 이러한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했다. 교황청의 금융·부동산 자산을 관리하는 사도좌재산관리처(APAS) 눈치오 갈란티노 처장은 교황청 기관지인 아베니레와의 인터뷰에서 "경비 지출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뿐 파산이나 디폴트 위험은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교황의 측근으로 교황청 중앙 행정 조직인 쿠리아 개혁 작업을 진두지휘하는 오스카르 로드리게스 마라디아가 추기경도 "누치의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반박하면서 "불안을 조성하고자 언론에 (거짓) 정보를 흘리는 누군가가 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누치는 교황청의 비리를 파헤친 『바티칸 주식회사』, 『교황 성하』, 『성전의 상인들』, 『원죄』 등의 책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킨 인물이다.

2012년 출간돼 미국·유럽 등 전 세계적으로 100만부 이상 팔린 『교황 성하』는 바티칸의 기밀문서를 바탕으로 쓰여 이른바 '바티리크스' 사태를 촉발했다. 누치는 이후 기밀을 부적절하게 입수한 혐의로 교황청 사법당국에 의해 기소됐다가 무죄 판결을 받았다.

김지혜 기자 kim.jihye6@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