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7 (금)

이슈 5세대 이동통신

28GHz가 진짜 5G? ...국내선 인구밀집지역 중심 구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내년 상용화 차세대 5G 팩트체크

28GHz·SA방식 韓 주도? ...기술 우위에도 1위 유지 장담못해

現 5G폰 28GHz 못쓰나? ...사용 가능한 단말기 내년 출시 예상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최근 28GHz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5세대(5G) 통합형 기지국을 업계 최초로 개발하고, 통신사들이 앞다퉈 단독규격(SA) 방식 시험 운용 성과를 공개하면서 차세대 5G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이 지난 4월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5G 네트워크는 3.5GHz 대역을 사용하고 기존 롱텀에볼루션(LTE)을 함께 쓰는 비단독규격(NSA) 방식으로 과도기적 성격을 일부 담고 있지만, 내년부터는 지금보다 성능이 좋은 28GHz 대역과 SA 방식의 통신망이 본격 상용화할 전망이다. 다음 5G 기술을 둘러싼 궁금증을 팩트체크 형식으로 풀어봤다.

①‘28GHz’이 진짜 5G? =LG유플러스가 최근 28GHz 주파수를 이용해 시험한 결과 다운로드 속도 4.2Gbps(초당메가비트)를 기록해 현재 3.5GHz의 최대 속도 1.33Gbps 대비 3배 이상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고화질(HD)급 2GB 영화를 4초만에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처럼 28GHz는 빠른 속도를 자랑하지만 주파수 대역이 높아 직진성이 강하다 보니 달하는 과정이나 벽 등을 통과할 때 손실률이 높아 서비스 이용범위(커버리지)가 제한적이다. 한국처럼 산간지역이 중심의 지형이나 장애물이 많은 도심지역에서는 망 구축에 한계가 있다. 이런 이유로 지형과 용도에 따라 3.5GHz와 28GHz를 적절히 조화롭게 사용한다는 게 통신업계의 설명이다. 한국도 내년부터 28GHz를 상용화할 예정이며 주로 스마트팩토리처럼 제한된 공간이나 인구 초밀집지역을 중심으로 커버리지가 구축될 예정이다. 영국과 중국, 스페인, 스위스 등도 3.5GHz 중심으로 커버리지를 구축해 5G 해외 로밍 시에는 3.5GHz가 호환성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미국 버라이즌은 28GHz 주파수 대역을 활용해 5G 서비스를 제공 중이고, 일본은 내년 도쿄올림픽에 맞춰 3.5GHz와 28GHz를 동시에 서비스할 계획이다.

SA 방식이 ‘진짜’ 5G 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 SA 방식이 안정화하면 데이터 처리 효율성이 현재보다 3배 더 높아져 자율주행이나 스마트팩토리, 스마트팜 등 차세대 서비스에도 적합할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LTE가 지난 10년에 걸쳐 품질 보완을 진행했고, 전국망을 확보한 만큼 SA가 완벽하게 서비스될 때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②28GHz·SA 방식 한국이 주도?=국가별로 여건이 다른데다 내년부터 상용화하는 나라는 SA방식에 주력하기 때문에 차세대 5G 까지 한국이 전반적인 우위를 점할지는 장담하기 어렵다. 다만 삼성전자가 최근 28GHz 통합형 기지국을 업계 최초로 개발하는 등 장비 기술은 한국이 앞섰다고 평가된다. 통신업계의 한 관계자는 “네트워크를 관리 능력과 솔루션,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등 콘텐츠·서비스 분야는 한국이 먼저 노하우를 쌓은 만큼 글로벌 경쟁력이 있다”고 설명했다.

③현재 5G폰은 28GHz 못쓸까?=내년부터 28GHz가 상용화할 경우 현재 출시된 5G 스마트폰으로는 28GHz의 속도를 체험할 수 없다. 현재 단말기는 3.5GHz만 지원하기 때문이다. 내년 28GHz 구축과 발맞춰 제조사에서 3.5GHz와 28GHz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를 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5G 단말기를 구입하는 이용자들에 대한 안내가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변재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현재 출시된 단말기는 28GHz 대역 기지국 연결이 불가능한 만큼 정부가 국민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진혁기자 liberal@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