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드론으로 바라보는 세상

항행안전, 인공지능·드론으로 패러다임 전환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토부, 항행안전시설 국제세미나 개최

혁신기술 융복합으로 항공기 운항환경 구축 기대

이데일리

[이데일리 정두리 기자] 정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항공교통량을 처리하기 위해 인공위성과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하는 차세대 항행시스템으로 패러다임 전환에 박차를 가한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12일 인천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AI, 드론 등 혁신기술을 적용한 한국형 항행시스템 구축 전략’이라는 주제로 항행안전시설 국제세미나를 연다고 11일 밝혔다.

항행안전시설은 항행에 필요한 거리·방위각·착륙각도, 공항위치 등 정보를 제공해 항공기가 안전하게 목적지까지 비행토록 지원해 주는 필수시설이다.

1992년부터 매년 개최돼 올해로 28회째를 맞는다. 국토부는 1980년대부터 항행시설 확충과 현대화를 위해 ’항행안전시설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해 체계적으로 항행시스템을 구축해 왔다.

이번 세미나는 개회식을 시작으로 국내외 항행시설분야 정책동향(세션1), 미래 항행시스템 구축 전략(세션2), 한국형 정밀위성항법시스템(KASS) 개발 현황(세션3) 등으로 진행된다. 특히, 유럽항공안전청(EASA)과 시스템 제작사(INDRA 등) 전문가를 초청해 유럽의 항공교통관리계획(SESAR)과 항행서비스 인증‧관리 등 글로벌 정책과 운영 노하우를 공유하는 기회를 마련했다. 또한 2023년 운영 개시를 목표로 추진 중인 한국형 정밀위성항법시스템(KASS)의 개발‧구축 현황 및 소프트웨어 인증 등을 소개 한다.

권용복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항행시스템은 첨단기술의 복합체로, 이 세미나가 AI, 드론 등 혁신기술을 항행시스템에 접목하기 위한 미래전략을 논의하는 등 매우 의미 깊은 자리가 되기를 기대한다”면서 “국토부는 인공위성에 기반한 초정밀 항공기 위치감시와 실시간 활용이 가능한 항공로 구성, 데이터 방식의 신속・정확한 항공정보 제공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미래지향적 항공기 운항환경 구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