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청와대와 주요이슈

靑 만찬 회동, 여야 온도차...예산소위 중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해찬 "진지하게 서로 말을 경청하는 좋은 자리"

황교안 "국정 정상화를 위해 최선 다할 것"

손학규 "진정한 협치·합의 정치를 해주길 부탁"

여야 교섭단체 예산 소위 위원 15명 확정


[앵커]
어제 청와대 만찬 이후 여야는 문재인 정권 후반기 정국 주도권을 잡기 위한 기 싸움에 시동을 걸고 있습니다.

여당은 여야정 상설협의체 복원에 방점을 찍는 한편, 경제와 복지 등을 위한 예산안 통과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자유한국당은 단지 조문에 대한 답례의 자리였다며, 문재인 정권 후반기 꿀바른 독버섯 같은 정책들을 바로 잡겠다고 날을 세웠습니다.

국회 연결합니다. 이승배 기자!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5당 대표 만찬에 대해 오늘 아침 여야 정치권의 반응은 어떻습니까?

[기자]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대화에 입장 차는 있었지만 진지하고 예를 갖추며 서로 말을 경청하는 아주 좋은 자리였다고 평가했습니다.

민주당 이해찬 대표는 여야정 상설 협의체를 복원해서 현안 논의하자는 대통령 제안에 야당 대표도 긍정적으로 호응했다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선거법 개혁과 지소미아, 탄력근로제 등 여러 분야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얘기한 자리였다면서 이런 모임은 자주 하자고 제안했고 대통령도 분기별로 한번 하는 게 좋겠다고 화답했다고 말했습니다.

[이해찬 / 더불어민주당 대표 : 저도 이제 한 자리에서 이렇게 3시간씩 얘기해본 건 참 오랜만입니다. 그만큼 할 말이 많고 진지하고 내용이 참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자유한국당도 여러 현안에 대한 논의가 있었지만, 기본 방향은 조문에 대한 감사의 자리였다고 평가했습니다.

한국당 황교안 대표는 그러면서 제1야당 대표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면서 국정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정상으로 가는 길의 핵심은 국가가 주도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 중심이어야 한다면서 국민 눈높이와 국민 상식, 그리고 국민 정서에 맞는 정치를 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이를 위해서 한국당이 똘똘 뭉쳐서 당을 쇄신해 보수 우파가 반드시 통합이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황교안 / 자유한국당 대표 : 흔들림 없이 대한민국을 살리기 위한 국민 중심의 자유한국당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바른미래당은 문 대통령을 향해 집권 초심으로 돌아가 국론 통합의 길을 가야 하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손학규 대표는 문재인 대통령에게 더 많은 지도자와 폭넓게 대화하고 국론 통일에 앞장서 달라고 주문했습니다.

정치권을 향해서는 정권 투쟁만 할 생각 말고 양보하고 타협해서 국민에게 신뢰받는 정치가 되도록 해주기를 당부했습니다.

[손학규 / 바른미래당 대표 : 야당에 대해서도 일방적으로 협조하라고만 요구할 것이 아니라 진정한 협치를 해서 줄 것은 주고 받을 것은 받는 그래서 합의의 민주주의를 이뤄나가기를 바랍니다.]

황교안 대표와 고성을 주고받은 것에 대해 손 대표는 정치 선배이자 인생 선배로서 한 마디로 꾸짖은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앵커]
이번에는 국정 일정에 대해 얘기해보겠습니다. 내년도 슈퍼 예산안에 대한 세부 심사가 오늘부터 시작되는데, 시작부터 순탄치가 않다고요?

[기자]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예산안조정소위원회는 오늘 오전 10시부터 심사를 시작했는데요.

회의를 시작한 지 10여 분이 지난 뒤에 정회됐습니다.

예결위원장을 맡은 한국당 김재원 의원이 택시기사 말을 인용해 민주당 이해찬 대표에게 2년 안에 죽는다는 발언을 한 것에 대해 민주당 의원이 사과를 요구하면서 중단됐습니다.

오전 회의는 완전히 종료됐고 오후에 예결위 여야 간사가 만나 논의할 예정인데, 논의 결과에 따라 속개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예산소위는 내년도 예산안 513조를 놓고 여야가 세부 항목별로 증액과 감액 여부, 그리고 규모를 결정하는 작업인데요.

계수 조정이라고도 하고, 언론에서는 여야의 치열한 신경전을 빗대 핀셋 전쟁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본회의 최종 의결을 거치기 전 최종 심사 작업인 만큼 권한이 막강합니다.

올해 예산 심의는 선거법 개정안과 공수처 설치 등 패스트트랙 법안 협상과도 얽혀 있어서 여야의 신경전이 만만치 않을 전망입니다.

여야 3개 교섭단체는 예산소위 위원 15명을 확정했습니다.

정당별로는 민주당이 7명, 한국당 6명, 바른미래당 2명이며, 지난해보다 1명이 줄면서 비교섭단체 의원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예산소위 심사는 오늘부터 시작해서 오는 29일에는 예결위 전체회의를 열어 내년도 예산안을 의결한다는 계획입니다.

예산안의 본회의 처리 법정시한은 12월 2일입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YTN 이승배[sbi@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생방송보기
▶ 유튜브에서 YTN 돌발영상 채널 구독하면 차량 거치대를 드려요!
▶ 네이버에서 YTN 뉴스 채널 구독하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