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트럭 2대 앞뒤 자율주행, 칼치기 알아서 피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현대차 도로 위 군집주행 첫 시연

중앙일보

12일 경기 여주 스마트하이웨이에서 군집주행을 시연하는 현대차 대형트럭 2대. [사진 현대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2일 경기 여주 스마트하이웨이에서 40t급 대형트럭 2대가 시속 60㎞ 속도로 줄지어 달렸다. 두 트럭 운전자는 운전대를 잡지 않고 가속페달에서도 발을 뗐다.

갑자기 두 트럭 사이에 다른 차량이 끼어들었다. 뒤 트럭이 끼어든 차량을 뒤에서 추돌할 상황이었다.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지 않았는데도 뒤 트럭은 속도를 줄이면서 차량 간격을 기존 16m에서 25m까지 벌렸다.

현대자동차가 이날 선보인 것은 상용차(트럭·버스) ‘군집주행(Platooning)’의 모습이다. 군집주행이란 2대 이상의 트럭이 하나의 대열로 자율주행하는 기술을 말한다. 트럭이 도로 위에서 마치 기차처럼 달리는 기술이다.


과정은 이렇다. 평소처럼 주행하던 두 트럭 가운데 뒤 트럭이 앞 트럭에 접근한다. 운전자가 군집주행 버튼을 누르면 트럭은 기능을 활성화한다. 제조사에 따라서 운전대에 ‘군집주행 표시등’이 들어오면서 속력, 차간거리 등을 보여준다. 트럭은 운전자가 설정한 차간거리를 유지하면서 앞차를 따라가게 된다. 현대차는 16.7m를 최소 차간거리로 설정했는데 만(MAN) 트럭은 15m가 최소 설정 범위다. 제동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다.

군집주행에는 센서와 차량 간 통신(V2V) 기능이 적용됐다. 각 트럭은 카메라, 레이다 등 센서를 통해 도로의 전반적인 상황을 인지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이 정보를 다른 트럭과 공유한다.

뒤 트럭은 앞 트럭이 보낸 주행화면을 볼 수도 있고 앞 트럭의 급제동, 급가속 등을 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공유받는다. 뒤 트럭은 이에 따라 급제동·급가속·방향 전환 등을 알맞게 이행한다.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자율주행 상용차에 수소전기 엔진이 결합하면 친환경적인 효과가 커질 것”이라며 “현재도 고속도로에서 트럭이 자율주행하는 것은 기술적으로는 큰 무리가 없는 수준으로 이번 시연은, 이를 빨리 상용화하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김효성 기자 kim.hyoseong@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