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6 (일)

[기자24시] 소셜벤처 강국의 조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12일자로 보도된 '소셜벤처의 명암(上)' 기획기사를 준비하면서 흥미로운 점을 발견했다. 평소에 자사를 소셜벤처라고 소개하던 기업들에 기사를 쓰겠다며 물어보니 소셜벤처 개념이나 소셜벤처와 사회적 기업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설명하는 곳이 많지 않았다. 자사는 소셜벤처도 사회적 기업도 아닌 '임팩트'를 창출하는 기업에 가깝다며 말을 바꾸는 곳도 있었다. '벤처'라는 그럴듯한 수식어를 붙여 홍보하던 기업들이 실상은 정체성도 모호했던 것이다.

국내에 소셜벤처라는 용어가 퍼지기 시작한 지 5년 정도밖에 안 된 데다 소셜벤처는 '벤처기업'과 달리 법률로 정의된 개념이 아닌 까닭에 아직은 부화뇌동하는 모습이었다. 소셜벤처 주무부서인 중소벤처기업부는 이 같은 문제점을 깨닫고 연내 소셜벤처 실태를 조사해 최초로 발표한다.

하지만 소셜벤처가 노숙자, 장애인, 경력단절여성 등 사회약자와 노년층, 청년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교육 불평등, 환경오염 등 사회문제 해결에 앞장서면서 경제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중기부에 의하면 국내에 약 1000개의 소셜벤처가 활동 중이며, 이들이 만들어낸 일자리는 약 1만개에 달한다. 시각장애인은 물론 일반인도 사용 가능한 시계를 만드는 '이원 타임피스'처럼 세계 무대로 뻗어나가는 소셜벤처도 있다. SK그룹, 현대차그룹 등 대기업들과 한국토지주택공사 등 공공기관도 소셜벤처가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눈여겨보고 자금 혹은 공간 등을 지원하면서 소셜벤처 열기에 불을 지피고 있다.

대부분 분야가 긍정 효과와 부정적인 측면을 동시에 지닌 것처럼 소셜벤처 생태계도 마찬가지다. 소셜벤처 업계에 많은 자금이 유입되면서 무늬만 포장한 가짜 소셜벤처도 등장했다. 가짜 소셜벤처를 색출할 필요는 있지만, 소셜벤처가 정부보다 더 저렴한 비용으로 사회문제를 바로잡는 동시에 실업률을 낮추는 데 기여하는 사실은 인정해야 한다. 반짝 주목받다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탄탄한 수익모델을 바탕으로 매출액 1000억원을 달성하는 소셜벤처가 대거 등장하기를 기대해본다.

[중기부 = 신수현 기자 soo1@mk.co.kr]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