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선거철 닥치면 ‘젊은 후보 찾아라’…끝나면 나몰라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청년정치 안 키우는 거대정당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청년대변인 선발 절차가 진행되던 지난 8월, 당 지도부가 전폭적 지원을 약속하는데도 지원자가 적은 이유를 한 당직자에게 물었다. 돌아온 답이 실소를 자아냈다.

“청년일 때 들어와서 자리 기다리다 장년이 된 사람도 많다. 그래서 막상 들어와도 밀어주기가 쉽지 않다.”

총선이 다가오면 각 정당은 캐스팅보터로 떠오른 청년들의 마음을 잡기 위해 ‘젊은 후보 찾기’에 동분서주한다. 문제는 선거 때마다 ‘이야기되는’ 청년을 바깥에서 데려오려고만 하지 ‘청년 정치인’ 육성에는 인색하다는 점이다. 원내 정당 대부분 자체적인 청년 정치인 육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등용문의 구실을 하기보다는 ‘구색 갖추기용’인 경우가 많다. 기간이 1~2개월로 짧을 뿐 아니라 프로그램도 전·현직 정치인들의 강연 위주로 짜여 있다.

주목할 만한 시도가 없진 않다. 바른미래당의 청년정치학교는 교육기간이 5∼6개월에 이를뿐더러, 모의 국정감사 등 실무에 도움이 되는 교육프로그램들로 채워져 있다. 바른미래당은 지방선거에 출마할 예비 정치인을 양성하는 ‘목민관학교’ 과정도 운영했다. 하지만 당의 규모가 작다 보니 가시적 성과를 내지는 못했다.

청년정치인 육성은 정당에도 ‘정치적 투자’에 해당하는 만큼, 민주당이나 한국당 같은 거대 정당들이 적극성을 보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민주당의 한 초선의원은 “당에서 상시로 관심을 쏟고 인적·재정적 지원도 해야 하는데, 지금 지도부는 그럴 의지가 없어 보인다. 의원들 사이에선 젊은 세대를 키우면 자기 자리를 내줘야 한다는 우려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부분의 정당들이 선거 때만 존재감이 드러나는 ‘캠페인 정당’의 한계를 못 벗어나는 것도 문제다. 윤태곤 더모아 정치분석실장은 “10∼20년을 내다본다면 당연히 청년정치 육성이 필요하지만 우리나라 정당은 모든 프로그램이 선거를 중심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당장 표나 돈이 안 되는 청년정치에 관심을 쏟기 어려운 구조”라고 꼬집었다.

이지혜 기자 godot@hani.co.kr

▶동영상 뉴스 ‘영상+’
▶한겨레 정기구독▶[생방송] 한겨레 라이브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