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韓 국채금리 반등폭, 美·유럽보다 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국채 (PG)
[제작 최자윤] 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정수연 기자 = 주요국 국채 금리가 반등세로 돌아선 가운데 한국 국고채 금리의 반등폭이 유독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금융투자업계와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지난 8일 우리나라의 10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연 1.80%로 9월 말(1.46%) 대비 0.34%포인트 상승했다. 상승 폭은 13개 주요 선진국과 신흥국 가운데 가장 컸다.

대외여건 완화로 글로벌 경제가 급격한 침체를 겪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으면서 주요국 채권금리는 대체로 상승했다.

10년 만기 미국채 금리는 9월 말 1.66%에서 지난 8일 1.94%로 0.28%포인트 올랐다. 10월 말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연 1.50∼1.75%로 낮췄으나 채권금리는 오히려 상승한 셈이다.

미국 경기를 나타내는 핵심 지표인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10월 54.7로 시장 전망치를 웃도는 등 경기둔화 우려가 다소 줄어든 점이 배경이다. 미·중 무역분쟁 리스크가 줄며 투자심리가 회복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유럽 채권금리도 노딜 브렉시트 우려 완화 속에 상승했다. 10년 만기 독일 국채금리는 9월 말 -0.57%에서 이달 8일 -0.26%로 0.31%포인트 올랐다. 영국 국채 10년물도 0.49%에서 0.79%로 0.3%포인트 반등했다.

같은 기간 중국 국채 금리도 3.14%에서 3.27%로 0.13%포인트 올랐다.

연합뉴스

[한국은행 제공]



주요국 가운데 우리나라 국채 금리가 유독 많이 뛴 것은 대외여건 개선, 경기침체 우려 축소 외에 안심전환대출 등 일시적인 요인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서민형 안심전환대출 실행을 위한 20조원 규모의 주택저당증권(MBS) 발행이 12월에 예정돼 있어 채권시장 금리가 더 올랐다는 지적이다.

공동락 대신증권[003540] 연구원은 "글로벌 경기가 최악으로 치닫지는 않는다는 예상이 나오며 주요국의 국채금리가 올랐다"며 "우리나라 국채 금리는 안심전환대출 등이 겹쳐 더 크게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jsy@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