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주당배당금 높아지는 종목, 11·12월에 고수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유안타증권 보고서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찬바람이 불면 배당주 투자에 관심이 높아진다. 이 때 배당수익률보다 주당배당금(DPS)을 활용하는 것이 더 의미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DPS가 성장하는 종목은 11~12월 상대적으로 주가 상승률이 커졌다.

김광현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13일 보고서에서 “국내 증시 시가총액 상위 300위 종목 중 전년도 배당수익률이 높았던 종목의 다음연도 수익률은 2013년 이후 94.4%로 6.4%에 그친 코스피 지수 대비 크게 아웃퍼폼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배당수익률은 주가가 하락하면 높아진다는 점 때문에 투자의 의미가 퇴색되기 쉽다는 지적이다. 작년 코스피 200기준 배당수익률은 2.57%로 2017년(1.71%)보다 높아졌으나 이는 배당을 늘렸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주가가 하락한 영향도 크다.

김 연구원은 “배당지표를 활용해 주가 상승을 기대할 수 있는 종목을 찾아내는 것이 더 의미 있는 작업일 것”이라며 “그런 의미에서 DPS가 높아지는 종목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DPS가 높아지기 위해선 주당순이익(EPS)가 증가해야 하거나 배당성향이 늘어나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배당주는 언제 성과가 좋았을까. 김 연구원은 “해마다 하반기가 되면 ‘지금이 배당주 투자 적기’라고 말하지만 실제로 고배당주에 대한 투자는 그 시기를 특정하기 어렵다”며 “DPS 증가 상위 종목 역시 월별로 뚜렷한 아웃퍼폼 시기를 특정짓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나마 DPS 상위 종목의 11월, 12월 수익률은 코스피 대비 높다는 분석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