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시위 격화`에 칠레 금융시장도 패닉..페소화 장중 5% 급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12일(현지시간) 칠레 산티아고 시내 한 환전소가 달아놓은 외화 시세./출처=칠레 라 테르세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4주 째 격화되는 '불평등 항의 시위' 속에 12일(현지시간) 칠레 금융시장이 요동쳤다. 이날 칠레 외환시장에서는 페소화가 달러대비 장중 5%이상 폭락하는 등 패색이 짙어진 가운데 달러당 780.03페소로 거래를 마쳤다. 당국에 환 방어에나섰지만 직전 장 대비 2.9%급락한 수준으로 장이 마감해 추락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라 테르세라 등 칠레 현지 언론은 '광기의 날'이라면서 "칠레가 자유변동환율제도로 전향한지 1999년 이후 20년 만의 페소화 폭락 사태"라고 전했다. 외환시장 이상 징후가 두드러지자 같은 날 마리오 마르셀 칠레 중앙은행 총재는 긴급 성명을 내고 "우리는 비정상적 상황에 대해 다양한 수단을 동원해 대응할 여력이 있다"며 시장 안심시키기에 나섰다.

매일경제

12일(현지시간) 칠레 금융시장이 요동쳤다. 이날 칠레 외환시장에서는 페소화가 달러대비 장중 5%이상 폭락하는 등 패색이 짙어진 가운데 780.03달러로 거래를 마쳤다./출처=블룸버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만 이날 장중 페소화는 심리적 장벽인 달러 당 800페소 선(달러당 800.08페소)을 뚫기도 했다. 당국 개입 신호에도 불구하고 추락세가 확연한 가운데, 산티아고 증시 IPSA지수도 전장 대비 1.63% 떨어져 1%를 넘는 하락세를 그었다.

매일경제

12일(현지시간), 이그나시오 브리오네스 재무부 장관은 중소기업 관계자들과 회동 후 기자회견을 열고 "우리 경제에 심각한 위기 신호가 감지된다"면서 "가장 취약한 중소기업과 서민 살림살이를 중심으로 인플레가 따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출처=칠레 라 테르세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악신호가 연거푸 이어지자 같은 날 12일, 이그나시오 브리오네스 재무부 장관은 중소기업 관계자들과 회동 후 기자회견을 열고 "우리 경제에 심각한 위기 신호가 감지된다"면서 "가장 취약한 중소기업과 서민 살림살이를 중심으로 인플레가 따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장관은 또 시위가 계속 될 경우 GDP전망치를 또 다시 낮출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는 "평화로운 시위의 내용은 정부와 의회의 조치에 반영되고 있다"면서 "다만 (평화롭지 않은 방식의) 행동이 우리 경제에서도 가장 취약한 부문에 심각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고 밝혔다.

앞서 브리오네스 장관은 지난 4일 취임 직후 시위 격화를 이유로 2019년 칠레 경제 성장률을 기존 전망치인 2.4~2.9%에서 1.8~2.2%로 하향 조정한 바 있다. 재무부는 시위에 따른 나라 전체 경제 손실이 미국 달러 기준 지하철 부문 4억 달러를 포함해 총 30억 달러(3조4710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추정하면서 2020년 성장 전망도 기존 3~3.5%에서 2~2.5%로 낮췄었다.

매일경제

12일(현지시간) 칠레 발파라이소 시내에서 시위 중인 시위대./출처=로이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2일 금융시장 요동은 하루 전 날 정부가 '피노체트 독재정권(1973~1990년)' 시절 제정 헌법 개정 초안 작성 작업에 들어간다고 밝혔음에도 시위가 이어진 데 따른 반응이다. 앞서 5일 세바스티안 피녜라 칠레 대통령은 BBC인터뷰를 통해 "시위대가 요구해온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정권 시절 헌법을 고치기 위해 의회와 논의 중"이라면서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제도 전반을 뜯어고칠 것"이라고 했는데, 그럼에도 시위가 계속돼왔다.

헌법 개정은 시위대의 핵심 요구 사안이다. 현행 헌법은 피노체트 독재 시절인 1980년 국민투표로 제정됐다. 시위대는 군부정권이 제정해 민주적 정통성이 결여된 데다, 국가의 역할을 지나치게 제한해 국민의 경제적 기본권을 제대로 보장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전면 개헌을 요구해왔다.

피노체트 독재시절 칠레 경제 정책은 이른바 '시카고 보이스'로 통하는 신자유주의 경제학자들이 주도했다. 시위대는 헌법이 국가의 역할을 제한하면서 민영화가 무자비하게 이뤄져 불평등을 낳았다는 입장이다.

피녜라 대통령은 "앞으로 30일 안에 연금 20%인상·최저임금 인상(시간당 300페소에서 350페소)등 경제구조 개혁을 실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혀왔다. 또 노동시간 단축(주 44시간제→40시간제) 법안을 추진하고, 비싼 부동산에 과세하는 부자세 부과, 약값 인하 정책을 발표했었다. 실제로 대통령은 지난 10일 내각 정부와 집권 여당 '칠레 바모스'(보수정당연합) 지도부, 상·하원 지도부와 만나 헌법 개정 작업에 착수하기로 합의했다.

다만 군과 경찰이 시위 제재에 나서는 과정에서 시위대 사망과 부상자가 늘고 있다. 특히 최근 경찰이 쏜 고무탄에 200명 이상이 부상당하고 실명 위기에 처하면서 민심이 악화됐다. 칠레는 '30페소(50원) 지하철 요금 인상' 탓에 지난 달 18일 이후 불평등 항의 시위가 장기화되면서 시위대가 최소 23명 죽었고 2000명 이상이 다쳤으며 7000여명이 체포됐다고 검찰청이 밝혔다.

[김인오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