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국내 사망률 4위' 폐렴, 겨울철 날 풀릴때 더 기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고려대 의대 천병철 교수팀 분석

기온 전날보다 6도 넘게 오르면

폐렴발생 위험 1.9배 이상 증가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겨울철 기온이 크게 떨어지거나 갑자기 따뜻해지면 폐렴환자 발생 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환자 발생 위험은 갑자기 날이 풀렸을 때가 더 높았다.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천병철 교수팀이 2009∼2014년 서울의 응급의료센터에서 폐렴 진단을 받은 21만7,776명을 분석한 결과다.

13일 연구팀에 따르면 폐렴환자 10명 중 6명은 만 0∼5세 영유아(39%)와 65세 이상 노인(23%)이었다. 6~18세는 13%, 19~64세는 25%를 차지했다.

폐렴환자 발생 위험은 겨울철 기온이 전날보다 10℃ 넘게 떨어지고 나서 1주일 뒤에 그 이전보다 평균 1.4배(0~5세 1.45배) 이상 증가했다. 이는 통상적으로 날씨가 추워질 때 폐렴에 주의해야 한다는 권고와 일치한다.

더욱 주의할 대목은 전날보다 기온이 6℃ 넘게 올라 갑자기 따뜻해지고 나서 1주일 뒤에 환자가 평균 1.9배 이상 증가했다는 것이다. 외국에서는 이런 날씨를 ‘폐렴 날씨’ 또는 ‘폐렴 온도’라고 하는데 국내에서도 갑자기 날씨가 풀렸을 때 폐렴 위험이 더 커진다는 게 확인된 셈이다. 천 교수팀은 날씨가 갑자기 따뜻해졌을 때 야외활동이 늘어나는 게 이런 현상의 원인일 수 있다고 봤다.

다만 노인에서는 이런 연관성이 분명하지 않았다. 천 교수는 “폐렴 날씨는 흔히 알고 있는 ‘일교차가 클 때 감기에 조심해야 한다’는 통념과는 다른 개념”이라며 “폐렴에 취약한 영유아·노인은 겨울철 날씨 변화에 주의하고 미리 독감·폐렴 예방백신을 맞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연구 결과는 대한예방의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예방의학과 공중보건(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에 발표됐다.

폐렴은 영유아부터 노인까지 다양한 연령에서 발병한다. 요즘처럼 일교차가 큰 환절기나 추운 겨울에 많이 발생하는데 초기에는 발열·오한·기침·가래 등 감기와 증상이 비슷해 방치하기 쉽다. 하지만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급속하게 증상이 나빠지고 다양한 합병증을 일으켜 영유아·노년층·만성질환자는 사망할 수 있다. 폐렴은 암·심혈관질환·뇌혈관질환에 이어 국내 사망원인 4위 질환이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