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119 광역수사대 설치했지만…구급현장엔 어려움 여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매 맞는 구급대원'의 실태를 저희가 작년에 심층 보도해드렸습니다. 그 뒤에 여러 대책들이 나왔지만 1년이 지난 지금은 얼마나 달라졌을지…

조보경 기자가 확인을 해봤습니다.

[기자]

지난 5월

올해 6월

[야 너 빨리 안 가! XX버린다!]

올해 8월

가장 크게 달라진 건 소방본부 안에 119 광역수사대가 생겼다는 겁니다.

구급대원에게 해를 가하는 사람만 전담합니다.

2인 1조로 출동하고 현행범으로 체포할 수 있습니다.

장비도 보완됐습니다.

구급차는 운전석과 뒷좌석이 벽으로 분리돼 있어 소동이 일어나도 알아차리기 어려운데요.

이럴 때 벨을 누르면 운전석에서 바로 알아차리고 수사대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그동안엔 맞아도 참고 넘기는 일이 다반사.

[이진원/4년 차 구급대원 : (이전에는) 한 대씩 맞거나 이럴 때는 그냥 참고 넘겨야겠다. 이런 생각을 많이 했고. (경찰의 조사) 절차상 복잡하니까.]

소방이 직접 수사하자 신고 건수가 2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물론 폭행과 폭언은 여전합니다.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했다는 의미가 있지만 남은 과제도 있습니다.

인원입니다.

서울 전체를 담당하는 수사 인력은 7명 뿐.

또 욕설만 퍼붓는 사람은 처벌할 수 없습니다.

[정재홍/119 광역수사대장 : (저희는) 물리적인 유형력이 있었을 때만 수사가 가능한데요. 실제 현장에 나가보면 모욕죄 기타 재물손괴나 여러가지 범죄와 경합된 부분이…]

경찰과 달리 소방기본법 등에서 정한 범위에서만 수사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영상디자인 : 이창환/ 영상그래픽 : 한영주)

조보경 기자 , 이승창, 김영선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