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5 (금)

내년 초 금융지주·은행권 사외이사 '큰 장 선다'..62명중 39명 임기만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금융권 사외이사, 내년 3월 대거 임기만료

고액연봉에 임원 인사 등에 미치는 영향 커 선호도↑

전문성 등 조건 갖춘 후보 부족

금융사간 모시기 경쟁 치열

[이데일리 장순원 기자] 내년 초 금융지주와 은행권에서 사외이사 선임을 놓고 큰 장이 선다. 금융권에 영향력이 크고 고액 연봉까지 챙길 수 있는 노른자 자리를 놓고 치열한 자리싸움이 예상된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NH금융지주 사외이사 37명 가운데 24명의 임기가 내년 3월 끝난다. KB지주의 유석렬·박재하 사외이사와 신한지주의 이만우, 김화남 사외이사 등 4명은 최장 연임 기한을 채워 교체가 불가피하다. 은행권 사외이사 25명 중 15명이 대거 임기가 만료된다. 국민은행은 5명 가운데 3명, 신한은행은 6명 사외이사 전원이 임기가 종료돼 인사 폭이 커질 수 있다. 농협도 방문규 전 사외이사가 수출입은행장에 선임되면서 중도 퇴임해 1명의 신규 수요가 발생했다.

이데일리

[그래픽= 문승용 기자]


금융권 사외이사는 5000만~1억원 안팎의 고액연봉을 받을 수 있는데다 독립성이 강화되면서 금융회사 인사 등에 미치는 영향도 큰 편이다. 지주 회장이나 은행장 선임에 관여하기도 해 자리를 놓고 금융권 안팎에서 치열한 물밑 경쟁이 벌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까지는 주로 금융 전공 관련 교수나 전직 관료, 금융권 출신이 사외이사를 맡아왔다. 금융권은 전통적으로 보수 성향이 강하고 정부의 입김을 많이 받는데다 경영이나 법률, 회계, IT 등의 전문성을 갖춰야 하기 때문이다.

금융권에서는 지금까지 임기 연장이 제한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연임을 선호해왔다. 금융회사 사외이사는 연봉은 많아도 책임이 무겁고 겸임도 어려워 적임자를 찾기 쉽지 않아서다. 게다가 학계나 관련 업계에서 신망을 받는 후보를 두고 ‘모시기 경쟁’도 치열해 금융권에 몸담은 사외이사는 여러 회사를 옮기는 경우도 많았다.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금융권의 사외이사는 전문성은 기본으로 갖춰야 하는데다 주주총회를 통과해야 하고 보는 눈이 많아 해당 분야의 최고 전문가가 아니면 영입하기 어렵다”면서 “이런 후보자의 풀이 넓지 않은데다 훌륭한 분을 모시려는 경쟁이 치열해 새로 선임하는 작업이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인적 쇄신과 전문성 강화, 경영진 견제가 중요시되는 분위기를 고려하면 교체 폭이 커질 수 있다. 국회에 계류 중인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금융회사지배구조법)도 사외이사가 너무 오래 일하지 않게 순차적 교체를 원칙으로 명시했다. 은행권에서 터진 파생결합펀드(DLF)사태를 계기로 사외이사 중심으로 내부통제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크다. 최근 금융감독원은 금융지주회사 이사회 핸드북을 제작해 주요 금융지주 사외이사들에게 배포하며 내부통제에 대한 역할 강화를 주문하기도 했다.

문재인 정부가 임기의 반환점을 돌면서 친(親)정부 성향의 인사나 전직 관료들이 금융권 사외이사 자리를 노린다는 분석도 많다. 정치권의 줄대기가 본격화하면 사외이사 교체 폭이 확대될 수 있다.

감사 교체도 관전포인트다. 연말과 내년 초 오정식 우리은행 감사와 허창언 신한은행 감사의 임기가 끝난다. 금융권에서는 허창언 감사는 연임이 유력하다고 보고 있다. 실제 신한은행의 경우 2년 임기를 채웠더라도 특별한 문제가 없으면 연임했다.

오정식 감사는 교체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이미 임기를 채우고 한차례 더 연임했기 때문이다. 후임으로는 취업제한이 풀린 금감원 간부 출신이 영입될 가능성이 크다. 현재 우리은행을 제외한 주요 시중은행의 감사가 대부분 금감원 출신이란 점에서 이런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사회에서 조만간 내년도 이사회 구성을 논의한 뒤 사외이사추천위원회를 열어 선임절차에 착수할 계획”이라면서 “인사 폭은 이사회에서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