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조국 "일일이 해명 구차하다" 진술거부권…향후 수사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조 전 장관에 대한 조사가 예상보다는 빨리 끝났습니다. 결국 조 전 장관이 '혐의 내용이 사실과 다르고 모른다'며 진술을 거부한 것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조사에 대한 불만도 역시 드러낸 것 같은데, 진술 거부권을 행사한 배경, 조 전 장관 측 변호인들에 취재를 했습니다. 그리고 향후 수사 전망은 어떤지, 취재기자와 짚어 보겠습니다. 백종훈 기자가 스튜디오에 나와 있습니다.

조 전 장관이 진술을 거부한 것, 나름 이유가 있을 것 아닙니까? 뭐라고 조 전 장관 측에선 얘기합니까?

[기자]

조 전 장관 측은 진술을 거부하기까지 고민은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전직 법무부 장관으로서 검찰 조사에 협조하지 않고 답하지 않는데 대해 부담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자녀 입시의혹이나 사모펀드 의혹 등 검찰이 제기하는 혐의에 대해 모르거나 사실이 아니라는 입장이기 때문에 그런 취지를 전체적으로 검찰에 설명하고 개별 질문에는 진술을 안 하기로 한 겁니다.

[앵커]

아예 아무 얘기를 안 한 건 아니고, 일단 본인의 입장을 얘기한 다음에 검찰이 물어보는 질문에 대해선 답을 하지 않았다고 보면 되겠군요. 조 전 장관의 진술 거부로 수사의 방법이 바뀌어야 한다거나 하진 않습니까?

[기자]

일단 그렇지 않을 것 같습니다.

과거 양승태 전 대법원장 등이 대부분의 검찰 수사 때 진술을 거부한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검찰은 기존 물적 증거들과 관련자 진술 등을 토대로 기소를 한 적이 있습니다.

조 전 장관의 경우에도 79일간의 강제 수사로 확보된 물증들이 있고 관련자 진술이 있기 때문에 기소 판단은 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앵커]

그거는 검찰의 입장이죠? 물증이 있다, 관련 진술이 있다, 이것은 물론 검찰 쪽의 얘기겠고. 이건 뭐 이쪽 변호인이나 조 전 장관의 입장에서는 그걸 또 부인하고 있는 그런 상황이니까요.

[기자]

그렇습니다.

[앵커]

결국에는 법정으로 가는 수밖에 없는 그런 상황이 된 것 같습니다. 조 전 장관도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미 그런 부분들을 좀 얘기해 놓은 부분도 있고. 그런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까 신아람 기자의 얘기로는 추가 조사는 필요하다 이렇게 얘기를 하고 있다면서요, 검찰 쪽에서.

[기자]

그렇습니다.

[앵커]

그런데 추가 조사는 필요 없다는 것이 조 전 장관 측의 입장이기도 하고. 이거 어떻게 될 것 같습니까, 그러면?

[기자]

말씀드렸듯이 자녀 입시 의혹이나 사모펀드 투자 의혹에 대해 몰랐다는 게 조 전 장관의 입장입니다. 그래서 그 입장문, 일일이 답변하고 해명하는 것이 구차하고 불필요하다는 입장문까지 낸 것인데요.

혐의를 부인하는데 억지로 검찰이 조사를 받는 것, 그것도 의미가 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저희 취재 결과 파악이 됐습니다.

따라서 검찰이 추가 소환 통보를 하더라도 결론적으로 조 전 장관이 응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검찰은 구인 등의 조치를 할지 또 아니면 진술 거부 취지가 분명하다면 관련 내용을 정리해서 기소 여부를 결정할지 판단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출석 요구를 했는데 조 전 장관 측이 응하지 않는다면 글쎄 뭐 구인까지 할 수 있을 것인가. 그건 좀 의구심이 드는데.

[기자]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그냥 냉정하게 보면 이 상황에서 그대로 기소로 할 가능성, 이것도 염두에 둬야 할 것 같은 그런 상황이군요. 백종훈 기자였습니다. 수고했습니다.

백종훈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