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현대차의 新법인 '모션랩'이 美 LA로 간 이유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현대차, 차세대 모빌리티 법인 '모션랩' 설립

카셰어링부터 퍼스널모빌리티, 도심항공 개발

LA는 세계 첨단 교통도시로 꾭혀

다양한 대중교통과 스타트업이 몰리는 도시

CBS노컷뉴스 송영훈 기자

노컷뉴스

보잉이 개발한 플라잉카 시제품.(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대자동차그룹의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를 주도할 새로운 법인인 '모션랩'이 탄생했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내 최대 교통도시이자 극심한 교통 체증으로 유명한 로스앤젤레스(LA)에 모션랩을 세우고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개발한다.

현대차그룹은 15일, 미국 LA에 모빌리티 서비스 법인인 '모션랩(MOCEAN Lab)'을 세우고 카셰어링 서비스를 시작으로 셔틀 공유, 다중 모빌리티 서비스, 퍼스널 모빌리티, 도심 항공 모빌리티 등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개발한다고 밝혔다.

미국 내 최대 교통도시인 LA에서 각종 모빌리티 서비스의 실증 사업도 진행한다. 현대차는 "LA를 전략적 지역 기반으로 삼아 현대차그룹이 보유한 모빌리티 기술을 미국 현지에 확산하는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전날 LA시가 주최한 차세대 모빌리티 박람회인 'LA코모션'에서 모션랩 설립을 공식화했다.

노컷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LA 에릭 가세티 시장과 현대차 윤경림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사업부장이 만나 모션랩의 카셰어링 서비스 출시 행사를 가졌다.

현대차와 LA시 협력의 핵심은 '모션랩이 LA 안에서 모빌리티 서비스 실증 사업을 진행하도록 협력하는 것'이다.

모션랩은 이달부터 LA 도심 주요 지하철역(유니온역, 웨스트레이크역, 페르싱역, 7번가/메트로센터역) 인근 환승 주차장 네 곳을 거점으로 지하철역 기반 카셰어링 서비스를 시작한다.

해당 지하철역은 모두 환승구간 또는 인구 밀집 지역이어서 카셰어링 서비스 효과를 볼 수 있는 거점으로 꼽힌다.

모션랩은 이후에도 한인타운, 할리우드 지역으로도 최대 300대의 카셰어링을 제공한다. 눈에 띄는 점은 차고지 제한 없이 차를 대여, 반납할 수 있는 Free-Floating 형태라는 점이다.

LA는 세계 최대 및 첨단 교통 도시로 꼽힌다. 이에 다양한 신개념의 교통수단과 모빌리티 스타트업이 이 도시로 몰리고 있다.

매년 LA 시민은 뉴욕(7,907달러)과 영국 런던(5,445달러)과 비교해 크게 높은 1인당 평균 9,741달러를 버스 및 지하철 이용에 사용한다.

미국 전체 전기차의 20%가 LA 시내에서 운행 중이며 대중교통 관련 스타트업이 뉴욕보다 2배 이상 많다. 이에 현대차그룹도 LA에 모션랩을 세우면서 더 다양한 환경의 모빌리티 실증사업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28년 올림픽을 앞두고 있는 LA시도 도심 교통 개선을 시의 중점 과제로 삼고 있다.

이에 모션랩은 LA시의 지원 속에 카셰어링을 시작으로 로보택시, 셔틀 공유, 다중 모빌리티 서비스, 퍼스널 모빌리티, 도심 항공 모빌리티 등 다양한 실증 사업을 진행한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모션랩은 미국 내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지역과 제공 차량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직장인, 관광객 등 다양한 고객층이 모션랩의 모빌리티 서비스를 이용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