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글로벌 자동차 업체 인력 7만여명 대규모 감축 돌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이 신차 판매 감소와 전기자동차(EV) 확산 등 자동차 산업 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 구조조정에 들어간다. 사진은 2017년 2월 9일 일본 도쿄 인근의 요코하마 글로벌 본사 갤러리에 전시된 닛산자동차 차량. 요코하마 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이 신차 판매 감소와 전기자동차(EV) 확산 등 자동차 산업 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 구조조정에 들어간다.

17일 니혼게이자이신문 등에 따르면 제너럴모터스(GM)와 닛산, 폭스바겐 등 세계 주요 자동차 업체들은 구조조정 방안의 중심축으로 7만여명의 인력 감축을 방침이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2009년 당시 세계 자동차업계가 10만명의 인력 감축을 단행한 이후 최대 규모다.

GM은 미국 내 3개 공장 등 전 세계 7개 공장 문을 닫는 것을 시작으로 1만 4000여명의 감축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해 휘발유 차 관련 공장 5곳의 폐쇄를 결정한 포드도 공장 작업 인원을 전체적으로 1만 2000여명 줄이기로 했다. 닛산은 생산 부문 인력에서 1만 2500명 감축한다. 오는 2030년 전 세계 전기차 판매의 40%를 목표로 삼은 폭스바겐은 독일 국내 공장에서 전기차 생산을 시작하면서 2023년까지 7000~8000명을 감원할 예정이다.

글로벌 주요 자동차 메이커들이 대규모 구조조정에 나서는 주된 이유는 신차 판매 시장이 커지지 않고 전기차 등 차세대 자동차의 전환이 생각보다 빠르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국과 유럽, 일본 등 자동차 선진국 시장에서는 신차 판매 대수가 이미 한계점에 도달했고 중국과 인도 신흥국 시장에서도 좀처럼 신차 판매가 예전과 같지 않다.

올들어 미국의 경우 판매대수가 지난해보다 3% 가량 감소했고 유럽도 1% 정도 줄어든 것으로 추산된다. 전 세계 신차 판매 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5% 감소한 9581만대이다. 영국 컨설팅업체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에 따르면 세계 총 자동차 대수는 2030년 17억대, 2050년 20억대로 포화 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글로벌 자동차 업계는 전기차 등 차세대 자동차로의 전환을 통한 생산체제의 구조개혁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통상 전기차는 가솔린 차에 비해 생산 라인이 짧고 부품도 30% 가량 적게 들어간다. 닛케이는 “주요 메이커들이 차세대 자동차에 투자를 늘리고 있지만, 염가 판매를 통해 전기차 등 보급을 우선하고 비용 회수를 미룰 수밖에 없는 것이 현 시장 상황”이라며 “생산력의 감소를 전제로 한 구조조정을 추진하는 기업이 늘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미국과 일본, 유럽의 주요 자동차업체 종사자 수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부터 계속 늘어나는데 힘입어 240만 명 수준에 이르렀다가 지난해 소폭 감소로 돌아섰다며 이번에 감축하는 7만여명은 대상 기업 전체 종업원 수의 4%에 이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