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미·중 협상대표, 2주 만에 전화 회담…“1단계 협상 건설적 논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향후에도 긴밀한 의사소통 유지”

이투데이

일본 오사카에서 지난 6월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 만난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악수하고 있다. 오사카/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 고위급 무역협상 대표들이 2주 만에 전화 회담을 했다.

1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양측의 협상 대표인 류허(劉鶴) 중국 부총리와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국 무역대표부 (USTR) 대표,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은 전날 전화통화를 통해 ‘1단계 무역협상’을 둘러싼 서로의 핵심 관심사에 대해 건설적인 논의를 진행했다.

이번 전화 회담은 미국 측 요청에 따라 성사됐다. 앞서 양측 협상대표들은 칠레 정부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취소 발표 직후인 이달 초에도 전화 회담을 진행한 바 있다. 양측은 앞으로도 긴밀한 의사소통을 유지하기로 했다.

양측의 이번 통화 접촉은 지난달 11일 양국이 고위급 무역협상에서 도출한 ‘1단계 합의안’에 대한 후속 작업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이달 개최될 예정이던 칠레 APEC 정상회담에서 이 합의안에 서명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칠레 정부가 자국의 소요사태를 이유로 APEC 개최를 포기하면서 일정에 차질이 빚어졌다.

예기치 못한 시간적 여유는 미·중 무역협상에 대한 불확실성을 키웠다. 미국의 대중 관세 철회 범위가 또다시 쟁점으로 떠올랐다. 미국은 다음 달 15일 적용할 예정이던 1560억 달러(약 181조 원) 규모의 15% 추가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 수준에서 합의를 원하지만, 중국은 지난 9월 11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부과된 관세를 철회하길 원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관세 철회 범위를 둘러싼 양측의 엇갈린 입장은 서로 상반된 주장으로 이어졌다. 앞서 가오펑(高峰)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지난 7일 양측이 협상 진전에 따라 ‘상호 단계적 고율 관세 폐지’에 합의했다고 발표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아무것도 합의하지 않았다”며 이를 부인하고 나선 것이다. 중국은 현재까지도 ‘고율 관세 취소’ 뜻을 고수하고 있다. 지난 14일에도 가오펑 대변인은 1단계 합의가 성사될 경우 중국산 제품에 대한 미국의 관세가 최대한 많이 취소돼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다만 이러한 견해차에도 협상이 물거품이 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윌버 로스 미국 상무장관은 지난 15일 폭스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중국과의 무역 협상은 타결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며 “결국에는 합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낙관적 전망을 내놨다.

[이투데이/변효선 기자(hsbyun@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Copyrightⓒ이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