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이슈 미술의 세계

한국 최초의 미술 잡지는 어떤 모습?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기획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잡지 100년사 통해 미술흐름 조명

동아일보

왼쪽부터 ‘미술과 공예’ 창간호(1917년), ‘조선미술’(1958년), ‘사진문화’, ‘서화협회회보’ 창간호(1921년).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미술잡지를 통해 어제와 오늘을 조망하는 ‘미술을 읽다: 한국 미술잡지의 역사’전이 서울 종로구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에서 열린다. 전시는 1910년대부터 현재까지 100여 년 동안 창간된 미술 잡지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이번 전시에선 1917년 4월에 발간한 ‘미술과 공예’ 창간호, 1921년 ‘서화협회회보’ 1호와 북한에서 발간한 ‘미술’(1956년), ‘조선미술’(1958년) 등이 공개된다. ‘미술과 공예’는 국내 미술 잡지로는 처음 발행된 희귀본이다. 다만 일본인이 일본어로 편집, 발행했기 때문에 근대미술 연구자들은 ‘서화협회회보’를 첫 미술 잡지로 꼽는다.

전시 후반부는 미술잡지 특집 기사를 중심으로 국내 미술계 전개 과정을 재조명했다. 1983년 이경성 전 국립현대미술관장 사퇴로 마무리됐던 ‘계간미술’ 봄호의 ‘일제 식민잔재를 청산하는 길’ 특집도 다시 볼 수 있다. 이 특집은 당시 이 전 관장을 포함한 전문가 설문을 통해 국내 미술계에 남은 일본의 영향과 친일 작품을 공개했다. 그러자 친일로 지목됐던 작가들이 성명서를 발표하는 등 격론이 일었고, 결국 이 전 관장이 사표를 제출했다. 내년 3월 7일까지. 홈페이지 참조.

김민 기자 kimmin@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