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청와대와 주요이슈

23일 0시 지소미아 '운명의 날'…청와대 "일본과 막판 대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협정 유지-종료, 2가지 가능성 모두 열어 놔"

강기정 "아베 정부, 한국이 백기 들고 굴복하라는 태도"

강경화 "일본 태도 변화 없이 지소미아 재고 없어"



[앵커]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즉 지소미아 종료까지는 이제 딱 하루가 남았습니다. 청와대는 오늘(21일) 일본과 마지막 대화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종료되지 않는 쪽, 또 종료가 불가피한 쪽, 두가지 가능성을 다 열어놨다"고 했습니다. 오전에 청와대에서 열린 NSC 상임위원회에서는 진행중인 협상에 대해서도 검토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먼저 청와대를 연결해 지소미아 협상 소식을 들어보겠습니다. 이서준 기자가 나가있습니다.

오늘 일본과 협상이 진행중이라는 얘기가 나왔는데 어떤 얘기입니까?

[기자]

네, 강기정 정무수석이 밝혔는데요.

지소미아 연장 등을 요구하며 청와대 앞에서 단식 중인 황교안 대표와 대화를 하는 과정에서 나온 말입니다.

직접 들어보시죠.

[강기정/청와대 정무수석 : 외교부 라인은 마지막까지 일본하고 대화를 하고 있습니다. 사실상 오늘 회담이 안 되면, 진전이 없으면 '내일은 어려워지지 않겠나' 하는 고민도 있습니다. 종료되지 않는 쪽과 종료가 불가피한 쪽, 두 쪽을 다 열어두고 대화를 준비하고 대화하고 있습니다.]

[앵커]

아마 강기정 수석은 여러 언론이 지켜보는 가운데 일부러 저렇게 얘기한 것 같은데, 의도적으로. 그렇다면 종료되지 않는 쪽, 그러니까 연장 가능성도 있다는 걸로 봐야 됩니까, 어떻게 봐야 됩니까?

[기자]

강 수석은 황교안 대표에게 전하면서 "아베 정부가 본인들 잘못은 얘기하지 않고, 우리에게 완전히 백기를 들고 굴복하라는 태도로 나오고 있어서 진전이 안 되고 있다"고 했습니다.

강 수석은 오늘 협상이 안되면 내일은 어렵지 않겠냐라고 해서 현재로선 연장 가능성은 낮아보입니다.

[앵커]

그렇습니다. 지금까지의 상황을 보면 일본이 자세를 바꿀 것 같진 않기 때문에, 그렇다면 예정대로 지소미아는 종료 된다고 봐야 되는거죠?

[기자]

청와대 분위기는 일본의 전향적인 조치가 없다면 종료할 수 밖에 없다는 입장 유지하고 있습니다.

강경화 외교부장관도 오늘 국회에서 "일본의 태도 변화가 있지 않는 한 지소미아 재고는 없단 게 우리 정부 입장"이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한일 양국 모두 그간의 입장 차이를 계속 유지하고 있는 것입니다.

[앵커]

아무튼 나온 얘기는 지금 협상을 하고 있다는 것 그 자체인 것 같습니다. 여태까지는 협상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그러나 결과는 그렇게 바뀔 것 같지는 않은 분위기임엔 틀림이 없는 것 같고요. 어쨌든 마지막 협상이라고 했는데 서로 입장차이만 확인하는 것, 무의미할 것으로 보이기도 하고. 그러나 이런 경우에 혹시 또 만에 하나 오늘내일 중에 극적인 어떤 결론이 나오지 않을까를 배제할 수는 없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나 일본이 혹시 새로운 타협안을 제시한 것이 있을까요? 강 수석은 뭐라고 얘기합니까?

[기자]

어떤 협상안을 놓고 대화를 하고 있는지 강기정 수석에게 전화를 걸어서 물었지만 모든 걸 열어놓고 최선을 다하겠다 외에 더이상 해줄 말은 없다라면서 구체적인 답을 하진 않았습니다.

안건은 강제징용 피해배상금부터 여러 현안들이 모두 논의되고 있다고 합니다.

한 청와대 관계자는 아직까진 이런 타협안도 있고 저런 타협안도 있다고 한국과 일본간에 아이디어는 교환하는 수준이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당장 구체적인 타협안을 도출할 수 있을 만큼 한일관계의 큰 흐름이 바뀐 상황은 아니라고 했습니다.

다만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고 있으니, 일단 지켜보자 라고도 했습니다.

[앵커]

강 수석의 말에 따르면, 오늘이 아니면 내일은 소용없지 않겠느냐 라는 얘기를 한 걸 그대로 받아들인다면 아마도 오늘 밤 사이가 굉장히 고비가 될 수 있을 것 같기는 한데. 하여간 좀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NSC 상임위 정례회의도 열렸습니다. 어떤 논의를 했습니까?

[기자]

매주 목요일에 하는 정례회의인데 오늘은 이른 아침부터 회의를 열었습니다.

청와대가 회의 뒤 "한일 간 현안 해결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검토했다"며 조심스럽고 짤막한 입장만 내놨습니다.

눈에 띄는 표현은 "이와 관련한 다양한 상황에 대비할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라고 했습니다.

지소미아 종료를 염두에 둔 방안도 논의한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 NSC에서는 2박 3일 동안 미국을 다녀온 김현종 2차장이 방미 내용을 공유하기도 했습니다.

김 차장은 지소미아 종료 시점을 앞두고 우리 정부의 입장과 현 상황 등을 미국에 직접 설명하기 위해 다녀온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그거 이외에는 뭐 다른 얘기가 안 나왔습니까? 가서 미국쪽은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에 대한 얘기라던가 이런건 전혀 없었습니까?

[기자]

청와대는 김현종 차장이 미국에서 어떤 대화를 나눴고 어떤 답을 들었는지에 대해서는 밝힐 수 없다, 조심스럽게 대응만 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 내용도 관심이 많이 가는데 일절 얘기는 안나오고 있는 그런 상황인 것 같군요. 이서준 기자가 청와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이서준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