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2 (목)

[여적]사라져가는 소리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가을은 소리의 계절이다. 낙엽 지는 소리, 낙엽 밟는 소리, 낙엽 태우는 소리, 나뭇가지를 스치는 바람소리…. 송나라 시인 구양수는 ‘추성부(秋聲賦)’에서 ‘가을의 소리는 나무 사이에서 나온다’(聲在樹間)고 노래했다. 탁월한 감수성이다. 물론 소리가 가을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사시사철, 세상 도처에는 소리들로 가득하다. 우리시대의 시인은 말했다. ‘세상에는 우리가 미처 듣지 못한 소리/알아차리지 못한 소리로 가득 차 있다’고. 그래서 ‘아예 듣지 않거나/들어도 알아차리지 못한 소리들,/그 소리들…/그래도 그쪽을 바라보고/또 바라본다’고.(정현종의 시 ‘소리, 소리들…’)

소리는 흐른다. 일회적이어서 대부분 허공으로 사라진다. 흘러간 소리는 향수를 부르고 추억에 젖게 한다. 소리 가운데 으뜸은 사람의 소리, 곧 목소리다. 어머니의 자장가 소리, 아기의 옹알이 소리, 할머니의 옛날이야기, 소녀들의 재잘거림, 시장사람들의 왁자지껄은 언제 들어도 정겹다. 목소리에 운율을 넣어 길게 읊조리면 노래가 된다. 백성들이 함께 부르는 노래는 민요다. 정치적인 목소리도 있다. 광장 군중의 외침, 정치인의 연설이 그것이다. 정치적 목소리는 때로 역사가 된다. 해방을 맞아 입국한 김구 선생의 일성은 “혼이 들어왔는지 육체까지 들어왔는지, 꿈인지 생시인지 모르겠다”였다.

소리를 주제로 한 전시가 한날 동시에 선을 보였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이 현대사의 역사적 순간을 소리를 통해 보여주는 ‘소리, 역사를 담다’ 특별전을 시작한 지난 21일, 창덕궁 돈화문 맞은편에서는 ‘서울우리소리박물관’이 문을 열었다. ‘소리 특별전’은 1928년 한글 원리를 설명한 이극로의 음원을 비롯해 조선어독본 음반(1935), 손기정마라톤 우승소감(1936), 정부 수립 선포(1948), 6·25남침 첫 라디오보도방송(1950), 이승만 하야성명(1960) 등 중요 사건을 담은 목소리 등을 전시했다. 소리로 듣는 현대사다. 반면 ‘소리박물관’은 전국 900개 마을에서 채집한 민요의 음원 2만곡을 수장하고 일부는 관람객에게 들려주는 향토민요 전문박물관이다. 모든 소리가 소멸되는 것은 아니다. 두 전시는 음원의 기록·저장·재생을 통해 소리도 역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조운찬 논설위원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신문 최신기사

▶ 기사 제보하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