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로봇이 온다

“로봇이 주차 단속·미세먼지 측정”…국토부,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착공식 개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투데이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개요.(자료제공=국토교통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로봇이 주차 단속을 하고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스마트 도시가 조성된다.

국토교통부는 한국수자원공사와 24일 부산 강서구에서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의 착공식을 개최했다고 이날 밝혔다.

착공식에는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한 김현미 국토부 장관, 강경화 외교부 장관,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부산시민 등 700여 명이 참석했다. 태국·베트남·라오스 등 아세안 국가의 정상과 장관들도 참석했다.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는 부산 강서구 일원의 낙동강 하구 삼각주(세물머리 지구)에 조성되는 수변도시다.

여의도 면적과 비슷한 2.8㎢ 규모의 부지 위에 헬스케어, 수열에너지 등 5대 혁신산업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5분 이내에 접근 가능한 녹지와 수변공간을 조성한다. 도심 곳곳에는 도심 수로, 중심상업지구, 대규모 스마트쇼핑단지, 연구개발(R&D) 복합단지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또한 도시에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설치해 각종 정보를 인공지능(AI) 데이터 플랫폼의 분석을 거쳐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서비스로 연결할 방침이다. 부산 스마트시티가 스마트 인프라를 구축해 시민에게 제공할 혁신서비스는 10가지다.

서비스는 △로봇 기반 생활혁신 △배움·일·놀이(LWP) △도시행정·도시관리 지능화 △스마트 워터 △제로 에너지 △스마트 교육·리빙 △스마트 헬스 △스마트 모빌리티 △스마트 안전 △스마트 파크다.

국토부는 혁신서비스 가운데 부산 스마트시티가 중점을 두고 추진하는 분야는 물관리와 로봇이라고 설명했다.

먼저 환경부담을 최소화하는 개발기법(저영향 개발기법·LID)을 도입하고, 스마트 수질개선 시스템을 도입해 오염물질 발생을 줄일 계획이다. 강우-하천-정수-하수-재이용의 도시 물순환 전 과정에 첨단 물관리 기술을 접목해 도시 전체를 친수도시로 조성할 계획이다.

세계 최초로 도시 기반의 로봇 서비스도 도입한다. 공공 부문에서는 시설물 점검·주차 단속·미세먼지 측정·거리 순찰 등에 로봇 도입을 검토한다. 민간 공모를 통해 자율주행 배송, 노약자 보조 등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 로봇 적용 가능성도 탐색한다.

이를 위해 로봇 충전스테이션·위치인식 마커·관제시스템 등 도시 단위 로봇 인프라를 구축하고, 로봇 관련 기업지원 체계도 마련해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를 세계적인 로봇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오는 2021년 말에는 스마트빌리지 단독주택 단지(56가구)가 입주할 예정이다. 스마트 기술을 통해 가사노동시간 15% 감소, 자전거 분담률 20% 이상 확보, 건강수명 3년 증가 등을 목표로 개별주택·블럭·단지전체 등 각 공간 단위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구현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내년 상반기에는 스마트시티의 구축 과정에서 민간의 창의성과 효율성을 활용하기 위해 민·관 합동 특수목적법인(SPC)에 참여할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사업자 공모를 시작한다”며 “지자체, 공기업과 대·중소 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새로운 민·관 협력 모델을 통해 스마트시티 조성·운영의 지속 가능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투데이/서지희 기자(jhsseo@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Copyrightⓒ이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